세계 반도체 생산 능력 순위에서 중국이 올해 일본을 제치고 대만, 한국에 이어 세계 3위에 올라설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13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중국의 기술 매체 지웨이왕은 이날 반도체 분석 기관 세미다이제스트는 최근 중국의 반도체 산업 발전 동향을 조망한 보고서에서 시장 조사 업체 IC인사이츠의 자료를 인용, 올해 반도체 웨이퍼 생산 능력에서 중국이 일본을 제치고 3위 자리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했다.
작년 말 기준 세계 반도체 웨이퍼 생산 능력 비율은 대만이 21.4%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한국(20.4%), 일본(15.8%), 중국(15.3%)의 순이었는데 중국이 반도체 투자를 빠르게 늘려감에 따라 일본과 중국의 순위가 바뀔 것이라는 전망이다.
중국은 지난 2010년 유럽연합(EU)을, 2019년 북미 지역을 각각 추월하며 순위를 계속 높였다. 이는 중국 공산당과 정부가 반도체 산업을 적극적으로 지원하면서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업체인 SMIC 등 중국의 대형 반도체 업계를 중심으로 대규모 투자가 잇따른 데 따른 것이다.
특히 미중 신냉전 와중에 반도체는 중국의 가장 큰 약점으로 지적된다.
컴퓨터용 중앙처리장치(CPU)와 스마트폰용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 같은 비메모리 반도체 외에도 중국은 디램과 낸드플래시 등 메모리 반도체 제품도 대부분 한국, 미국 등지에서 수입한다. 미국 정부의 제재로 중국을 대표하는 통신장비 업체인 화웨이가 작년 9월부터 반도체 부품을 제대로 구하지 못해 심각한 위기에 빠진 것도 이 때문이다.
중국의 반도체 산업이 매우 빠른 양적 성장을 거듭하고 있지만 기술 수준은 여전히 미국, 한국, 대만과 격차가 큰 것으로 평가된다.
중국을 대표하는 파운드리사 SMIC의 경우 최근 미세 공정의 문턱으로 여겨지는 14나노미터(㎚=10억분의 1m)급 제품을 생산하기 시작했지만 여전히 주력 제품은 아직 55㎚ 이상의 `성숙 공정` 제품이다.
이런 가운데 미국 정부는 중국의 반도체 자립 실현을 위한 핵심 회사인 SMIC가 외국에서 극자외선(EUV) 노광 장비 등 미세 공정 관련 핵심 장비와 재료를 구매하지 못하게 제재하는 등 중국이 미세 공정 반도체 자체 생산을 최대한 지연시키는 전략을 펴고 있다.
메모리 반도체 분야 사정도 복잡하다. 자회사 YMTC를 통해 낸드 플래시 등 일부 메모리 반도체 제품을 양산 중인 `중국의 반도체 항공모함` 칭화유니는 거대 부채 문제로 파산 구조조정 절차를 밟고 있어 최악의 경우 공중분해 될 위기에 처해 있다.
(사진=칭화유니그룹 홈페이지 캡처)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이휘경 기자
ddehg@wowtv.co.kr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