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드코로나(코로나와의 공존 가능한 방역 체계 유지)` 정책과 효과적인 치료제 등장이 진단키트 수요를 증가시킨다는 전망이 나왔다. 백신·치료제 대중화가 관련 수요를 대폭 줄인다는 의견과는 정반대다.
●격리·봉쇄 대신, 검사 늘린다
위드코로나를 선언한 선진국을 살펴보면 대부분 일상에서 코로나 검사 빈도(키트 사용)가 늘어나는 추세다.
김형수 한화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싱가포르를 살펴보면 코로나를 풍토병처럼 관리하기 위해 식당, 미용실, 사우나, 체육관, 피트니스 센터 등 모든 직원을 대상으로 검사소를 통한 정기검사를 의무화하고, 가정마다 항원신속검사 키트를 배포한다"며 "영국은 마스크 착용을 강제하지 않는 대신, 무료 진단 검사 범위와 관리를 확대하고 강화했다"고 말했다.
우리나라 역시 방역 체계를 전환하면 코로나 검사 빈도가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 선진국 모델을 참고하는 경우가 많고, 확진자 관리 기능을 강화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어서다. 전환 시기는 빠르면 10월 말부터다. 실제로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고령층 90%·성인 80% 이상이 코로나 백신 접종을 완료하면 전환을 본격 검토할 예정"이라며 10월 말 정도를 전환 시기로 예상했다.
참고로 15일 기준 정부가 밝힌 백신 접종 완료자(얀센은 1회, 나머지 백신은 2회)는 전국민의 40.3% 수준(성인 기준 46.9%)이다.
●경구용 치료제 등장도 이유
경구용 치료제는 주사제보다 접근성이 뛰어나, 위드코로나 정책에 필수 요소다. 전문가들은 경구용 치료제 등장 또한, 진단 수요에 일조한다고 설명한다. 코로나 환자를 보는 한 대학병원 교수는 "코로나 치료제를 사용하기 전 검사는 필수"라며 "코로나 환자가 맞는지 정확히 진단을 내려야 치료제를 할 수 있고, 고열이나 호흡기 증상을 가지고 있는 다른 질환과의 감별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임상 단계에서 실패가 없다는 가정 하에, 현재 경구용 치료제가 상용화될 시기는 내년 상반기다. 미국 제약사 머크(MSD)의 몰누피라비르가 대표주자이며 화이자, 로슈는 물론 국내에서도 여러 제약사들이 경구용 치료제를 연구하고 있다.
●진단업체 `레벨업` 아직 남았다
국내 진단업체들은 이미 크게 성장한 상태지만, `아직 레벨업 여지가 남았다`는 예측도 나온다. 국내 기업들은 2020년 빠르게 코로나 진단키트를 개발, 상용화한만큼 인지도가 커졌다. 키트 수요가 늘어날 수 있는 글로벌·국내 시장에서 더 성장할 수 있다는 의미다.
김형수 애널리스트는 "랩지노믹스의 경우 국내에서 유일하게 분자진단시약을 미국으로 수출하고 있고, 2021년 매출 예상액은 2천억원 이상"이라며 "씨젠은 PCR분자진단에 전문성을 가진 기업이며 분자진단의 경우 시약 같은 고유 소모품 매출이 지속적으로 발생한다"고 말했다. 실제로 한화투자증권이 지난 15일 발간한 리포트에서는 랩지노믹스와 씨젠 주가 상승여력을 각각 79.8%, 42%로 보고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