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제 대주물량, 목표치 35% 수준"
올해 5월 국내 주식시장에서 공매도가 부분 재개됐지만 개인 투자자가 빌릴 수 있는 주식 물량(대주물량)은 기관에 비해 매우 적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민형배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아 20일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올 6월 말 기준 대주물량은 1천817주로, 전체 주식(4억272만9천875주)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0.00045%에 그쳤다. 나머지 4억272만8천58주(99.99955%)는 기관이 빌릴 수 있는 주식 물량(대차물량)이었다.
주식 대여를 위해 올 상반기 신용대주서비스나 증권사의 차입서비스에 가입한 개인의 수는 1만8천880명으로, 증권사로부터 주식을 빌린 기관의 수(4천587개)보다 4배 더 많았다.
공매도는 주가 하락이 예상될 때 주식을 일단 빌려서 판 뒤 주가가 내려가면 주식을 사서 갚는 방식으로 차익을 실현하는 투자 기법으로, 그간 기관을 중심으로 이뤄져 불공평하다는 비판이 나왔다.
실제로 최근 규제강화 우려로 급락하고 있는 카카오와 계열사 주식에 공매도가 집중되고 있다. 9월 들어 카카오그룹 상장사에만 모두 9천억원에 달하는 공매도 물량이 집중되고 있지만 개인들에게는 `그림의 떡`인 셈이다.
이에 금융당국은 신용대주서비스를 제공하는 증권사 수를 6개사에서 17개사로 확대함과 동시에 대주물량도 늘리겠다고 밝혔지만 최근 대주물량의 시가총액은 금감원이 오는 11월까지 확보하겠다며 제시한 목표치에 아직 한참 모자라다. 6월 말 기준 대주물량의 시가총액은 8천627억원으로, 금감원 목표치인 2조4천억원 절반에도 못 미치는 수준(35%)이다.
민형배 의원은 "공매도 제도의 순기능에도 불구하고 개인과 기관 간의 기울어진 운동장에 대한 불만 때문에 불신이 큰 상황"이라면서 "금융당국은 개인 투자자가 공매도로 불이익을 받지 않는 시장환경 조성에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사진=연합뉴스)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이휘경 기자
ddehg@wowtv.co.kr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