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정·통화·금융당국 수장이 가계부채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7개월 만에 다시 한 자리에 모였습니다.
정부는 다음달까지 고강도 가계부채 관리방안을 내놓을 예정인데, 대출이 꼭 필요한 실수요자들에게는 상환 능력 안에서 대출이 가능하도록 하겠다는 방침입니다.
강미선 기자입니다.
<기자>
가계와 기업 빚이 4,300조 원을 돌파한 가운데 올해 2번째로 열린 거시경제금융회의.
7개월 만에 재정·통화·금융 당국 수장이 가계부채를 놓고 다시 머리를 맞댔습니다.
홍남기 경제부총리는 이 자리에서 다음 달까지 가계부채 관리 대책을 발표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홍남기/경제부총리: 가계부채 증가세를 최대한 억제하면서 대출이 꼭 필요한 수요자들 경우 상환능력 범위 내 대출받을 수 있도록 하는 방향성을 폭넓게 모색하도록 하겠습니다. 관리방안을 10월 중 마련해 발표할 예정임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이날 회의에서 경제수장들은 가계부채의 빠른 증가 속도가 실물경제에 부담으로 작용할 위험이 있다고 입을 모았습니다.
또 올해에 이어 내년까지 가계부채 증가율 6%를 목표로 상환능력 내 대출을 추진하기로 결정하면서 대출 한파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경제수장들은 가계부채뿐 아니라 글로벌 `공급 병목` 현상과 미국의 자산매입 축소(테이퍼링) 가능성 등 대내외 리스크 요인을 함께 점검했습니다.
[홍남기/경제부총리: 대외리스크가 불거진 가능성도 배제하지 못하는 상황입니다. 우리가 충분히 예상할 수 있지만 쉽게 간과할 수 있는 `회색코뿔소`와 같은 위험요인들은 확실하게 선제적으로 제거해나갈 필요가 있습니다.]
이를 위해 차관급 거시경제금융회의 등 관계기관 협력 체계를 더욱 긴밀히 가동하고, 경제 수장들은 정책 조율을 위해 4차 회동을 공식·비공식적으로 자주 갖기로 의견을 모았습니다.
한국경제TV 강미선입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