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로금리` 시대가 끝나고,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오미크론`의 등장으로 위험자산 시장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안전자산으로 돈이 몰리고 있습니다.
정치경제부 문성필 기자와 이런 현상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위험 자산에서 안전 자산으로 시중 자금이 옮겨간다는 신호를 어디서 확인할 수 있나요.
<기자>
먼저, 위험자산으로 분류되는 가상자산 시세를 살펴보겠습니다.
비트코인 시세는 국내에서 지난 달(11월) 8일 8,140만 원을 기록했습니다.
하지만 현재는 7천만 원 대에 머무르고 있습니다.
이런 현상은 일부 투자자들이 차익 실현에 나선 영향도 있겠지만,
오미크론 출현으로 금융시장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안전 자산으로 시중 자금이 옮겨간 탓도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앵커>
달러와 같은 안전 자산도 살펴볼까요.
<기자>
요 며칠 안정세를 보이고 있긴 하지만, 최근 원·달러 환율이 1,200원을 목전에 두는 등 달러 가치가 상승 곡선을 그렸습니다.
이달(12월) 중순 예정된 올해 마지막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앞두고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돈줄 죄기`에 본격적으로 나설 것이라는 전망이 영향을 줬고요.
앞서 이야기한 오미크론발 경기 침체 우려까지 겹치면서 달러 가치를 끌어올리고 있습니다.
최근 며칠새 원·달러 환율이 내린 이유 역시 오미크론 증상이 예상보다 경미하다는 소식 때문이었습니다.
이 역시 대내외 불확실성이 커지자 안전 자산 선호세가 강해졌다는 것을 반증합니다.
여기에 국내 증시가 지지부진한 영향도 있어보입니다.
코스피가 지난달(11월) 30일 연중 최저치로 주저 앉기도 했습니다.
<앵커>
이런 흐름 속에 은행으로 돈이 몰리고 있다고요.
<기자>
은행권에 따르면 지난달 29일 기준 5대 시중은행 정기예금 잔액은 655조357억 원입니다.
기준금리를 인상하기 전(24일, 653조1,354억 원), 그러니까 3영업일 만에 2조 원 가까이(1조9,003억 원) 늘었습니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1.00%로 인상하면서 5대 은행들이 예적금 금리를 최대 0.4%포인트 올린 점이 영향을 줬다는 분석입니다.
0%대로 떨어졌던 은행예금 금리가 2%에 육박하고, 최대 4%대 적금 상품도 등장했습니다.
제로금리 시대에는 예금 금리가 워낙 낮은 탓에 주식에 적립식 투자를 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 자금이 다시 은행으로 들어오고 있다 이런 이야기도 나옵니다.
환차익 노릴 수 있는 달러 예금에도 돈이 몰리고 있습니다.
10월 기준 4대 시중은행 달러예금 잔액은 541억1,700만 달러, 우리 돈 약 63조7천억 원으로 전달(9월, 518억 7900만 달러)보다 22억 3,800만 달러 증가했습니다.
다만, 최근 원·달러 환욜이 1,200원에 육박하면서 투자자들이 환차익 실현에 나서면서 지난달(11월)에는 달러 예금이 다소(0.14%) 줄기도 했습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