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wowtv.co.kr/wowtv_news/dnrs/20211216/B20211216115523790.jpg)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가 강화된 이후 첫 월요일인 20일 자영업자와 손님들의 혼란이 지속하고 있다.
특히 백신 미접종자가 타인의 방역패스를 이용해 식당이나 카페에 드나드는 등 `꼼수`를 쓰는 사례가 나오고, 미접종자를 차별하는 매장들이라며 명단을 정리해 공유하는 온라인 카페까지 개설되는 등 거리두기를 둘러싼 갈등이 불거지고 있다.
지난 17일 포털 사이트 네이버에 개설된 `비접종자 차별 가게 공유` 카페는 백신 미접종자를 출입할 수 없게 한 매장들을 제보받아 지역별로 정리 중이다. QR코드와 방역패스 인증을 제대로 하지 않는 곳은 `착한가게`로 부르며 공유된다.
비슷한 목적으로 개설된 SNS(소셜미디어) 계정은 이날 오전 기준 2천 명이 넘는 팔로워를 보유했다. 공유된 식당 목록도 80곳 이상에 이른다.
당근마켓 등 중고시장에는 `방역패스`를 5만원에 빌린다는 글이 올라왔다가 비난을 받자 수그러들기도 했다.
이 밖에도 `꼼수 방역패스` 사례가 잇따르자 자영업자들은 접종 사실을 일일이 확인하는 데 현실적인 어려움이 크다고 볼 멘 소리를 내고 있다.
손님들은 손님대로 불만이다.
아파트 헬스장에 등록하러 갔다는 한 직장인은 온라인 커뮤니티에 "애플리케이션으로 2차 접종 사실을 보여줘도 직원이 `이 인증서가 회원님 것인 줄 어떻게 아느냐`고 해 뭘 더 어떻게 입증해야 하는지 당황스러웠다"며 "종이 증명서와 신분증을 항상 지참하고 다녀야 하느냐"고 불만을 토로했다.
자영업자 커뮤니티인 `아프니까 사장이다`에서는 미접종자 고객을 거부하는 매장에 대한 투표가 이뤄지기도 했다. 응답자 중 절반 이상인 56.1%가 `분명히 문제 있다`고 답했다.
(사진=연합뉴스)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김현경 기자
khkkim@wowtv.co.kr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