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플러스 PICK] 시간입니다.
이지효 기자, 첫 번째 키워드는 `쪼개기 상장` 막아라` 입니다.
<기자>
네, 일단 자료를 먼저 준비했습니다.
청와대 국민청원에 올라온 `포스코의 물적분할 시도를 막아달라`는 내용의 게시글인데요.
내용을 보시면 "국내 기업들 중에는 주주의 돈을 바탕으로 성장했음에도
그 이익은 정당하게 나누려고 하지 않는 기업들의 행위를 통해서 소액주주들은 허탈감을 느낀다"라고 쓰여 있죠.
<앵커>
그러니까 포스코의 물적분할에 반대한다는 얘기죠?
<기자>
네, 그렇습니다. 포스코는 지주사 `포스코홀딩스`를 상장사로 유지하고 철강 사업회사 `포스코`를 물적분할 한다는 계획을 밝혔는데요.
소액주주들은 신설법인 포스코가 상장되는 것, 이른바 `쪼개기 상장`을 우려하는 건데,
이런 탓에 포스코는 포스코 신설법인 포스코를 100% 자회사이자 비상장사로 유지하겠다고 밝혔죠.
<앵커>
그러니까요. 상장 안한다고 포스코에서 이미 밝힌 것 같은데 말이죠.
상장을 하면 그건 왜 문제가 되는 겁니까?
<기자>
일단 기업분할 방식중에 물적분할하고 인적분할이 있죠.
인적분할은 모회사 주주가 지분율에 따라 자회사의 주식을 나눠 갖는데,
물적 분할은 모회사가 자회사의 주식을 100% 소유합니다.
이게 무슨 얘기냐면 물적분할을 하면 기존 주주들은, 분할되어서 나온 회사의 주식을 한 주도 받을 수 없게 된다는 뜻입니다.
<앵커>
그러니까 포스코에서 철강회사가 자회사로 따로 떨어져 나오면서
기존 주주들은 철강사업 관련 주식은 한 주도 못갖는다 이거죠?
그래도 포스코홀딩스의 100% 자회사니까, 어쨌거나 철강회사를 보유하고 있는 셈 아닙니까?
<기자>
그렇죠. 적어도 자회사 지분을 100% 보유하고 있을 때는 그렇습니다.
문제는 자회사가 상장을 할 때인데요.
이렇게 되면 자회사 주주들과 함께 나눠야 하기 때문에 지주사 밸류에이션은 할인될 수밖에 없는 겁니다.
사실 주주들이 철강 부문에 유독 이렇게 목소리를 내는 이유는 또 있는데요.
바로 올 들어 포스코가 최대 실적을 이어가고 있는 상황에서,
그룹 합산 영업이익의 90% 가까이가 철강에서 나오고 있기 때문입니다.
<앵커>
사례가 포스코 말고도 있었습니까?
<기자>
LG화학 핵심 사업부문이 분할해 신설된 LG에너지솔루션의 경우,
이미 내년 1월 상장이 예정된 만큼 모회사에 대한 `밸루에이션 할인`이 적용되면서 하락폭이 커지는 상황인데요.
현재 LG화학 주가는 20일 종가 기준 65만 5,000원으로 연초보다 27% 가량 빠졌습니다.
증권업계에서는 "LG에너지솔루션 상장 이슈 등으로 LG화학에 대한 투자 심리가 위축된 것"이라며
"다음달까지는 이런 상황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하고 있습니다.
<앵커>
포스코가 철강 자회사는 상장을 안할거다라고 이미 밝힌 상황 아닌가요?
<기자>
밝힌 건 맞는데, 하지만 그렇다고 상장 가능성이 아예 없는 건 아니거든요.
포스코가 신설 철강 회사 정관에 `일반공모`등 상장에 필요한 규정을 반영하지 않겠다고 밝혔지만,
정관 변경은 이사회 의결만으로도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일부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결국 포스코가 신성장 사업을 육성하려면 투자비 지출이 예상된다는 점에서,
시간이 지나면 결국 상장을 추진하지 않겠냐는 시각도 있습니다.
<앵커>
요즘 아르헨티나 염전도 사고 뭔가 투자를 많이 하는 것 같은데, 확실히 예산이 필요할 것 같긴 합니다.
이런걸 쪼개기 상장이라고 말하는데 시장에서 별로 좋게 평가하지는 않는 모양이에요?
<기자>
`쪼개기 상장`을 두고 일각에서는 `코리아 디스카운트` 요인이라고 비판하고 있습니다.
실제 미국이나 영국 등에서는 모회사와 자회사가 동시에 상장하는 경우가 드문데요.
동시상장으로 주주들이 피해를 입을 경우 집단소송을 당할 수도 있기 때문에,
동시상장을 하더라도 공모 대신 기존 주주에게 배정하는 방법을 통해 모회사 주주 보호책을 씁니다.
<앵커>
실제 쪼개기 상장 관련해서 제도개선도 검토되고 있다면서요?
<기자>
이용우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내년 1월 토론회를 열 예정인데,
자회사가 상장하더라도 주식을 모회사 주주에게 배정하는 방안 등을 포함해 여러 대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경제개혁연대는 "100% 자회사가 상장하는 경우에는
모회사 주주에게 우선적으로 신주인수권을 부여한 뒤 일반공모를 실시해야 한다"고 제언한 바 있습니다.
금융위원회와 한국거래소 또한 관련해 논의를 진행 중인 것으로 파악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