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에서 물적분할된 LG에너지솔루션(LG엔솔)이 다음달 말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합니다.
공모규모만 10조원이 넘는 그야말로 `역대급`인데요, 그러나 기대 못지 않게 대어의 상장에 따른 시장내 대규모 수급 교란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
정경준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기자>
희망공모가 기준으로 LG에너지솔루션의 기업가치는 최대 70조2천억원.
현재 유가증권시장 시가총액 기준으로 삼성전자, SK하이닉스에 이은 3위권 수준입니다.
그야말로 `역대급` 대어인데, 상장 이후 대규모 수급 교란 우려가 일고 있습니다.
상장과 동시에 MSCI(모건스탠리캐피탈인터내셔널)를 비롯해 코스피200 등 주요 지수의 조기 편입이 예상되는 만큼 이들 지수 내 여타 주요 종목들의 비중 조절이 불가피합니다.
현재 시장에선 이들 지수를 추종하는 기관투자자 패시브 자금의 LG에너지솔루션 매입 수요는 최소 9천억원에서 최대 1조5천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합니다.
이들 지수가 LG에너지솔루션을 담기 위해 지수 내 종목들을 시가총액 비중 만큼 최대 1조5천억원을 가량을 매도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된 것인데, 이 과정에서 수급 교란에 따른 주가 변동성 확대가 불가피하다는 설명입니다.
특히, 지수 내 비중이 높은 시가총액 상위 종목들을 중심으로 매도압력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실제 유진투자증권에 따르면, 코스피200 지수 내 종목을 비중대로 1조5천억원을 매도한다고 가정했을 경우, 삼성전자는 4,400억원, SK하이닉스는 830억원, 네이버의 경우 640억원 가량의 매도 요인이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강송철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금액 자체가 적지 않기 때문에 다음달 말 상장할 때 수급에 영향이 있을 것으로 본다"면서 "특히, LG화학 한 종목에는 영향이 적지 않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최근 LG화학의 주가 하락세도 이러한 상황과 무관치 않다는 분석입니다.
2차전지를 테마로 한 상장지수펀드(ETF)의 경우 수시변경 형태를 통해 LG화학에서 LG에너지솔루션으로 종목 교체가 예상됩니다.
무엇보다 LG에너지솔루션 상장 당시의 국내 증시를 둘러싼 환경이 수급 교란 확대 여부의 변수가 될 전망입니다.
[인터뷰] 정용택 IBK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
"덩치가 크긴 하지만 덩치 큰 수급을 지난해와 올해 소화시켜본 경험이 있는 거잖아요, 단기적인 임팩트는 있을 수 있겠지만 단순하게 규모가 아니라 그 (상장)시점에서 주식시장에 제공되는 펀더멘털 환경이 어떻게 형성되느냐가 중요할 것으로 본다."
강화되는 금융당국의 대출 규제와 미국의 테이퍼링 가속화 등 국내외 유동성 긴축 본격화가 시기적으로 맞물릴 경우 그 충격파가 적지 않을 것으로 보여 시장내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정경준 입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