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국내에서 코로나19 일평균 확진자 수가 7천명에 달하면 `오미크론 대응단계`로의 방역체계 전환을 공표하기로 했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20일 코로나19 대응 백브리핑에서 오미크론 대응단계 전환 시점과 관련해 "요일별 확진자 발생 추이를 고려해 (하루) 7천명대로 평균 추세가 형성되면 전환을 시작하게 된다"고 밝혔다.
손 반장은 "특히 지역사회 확진자 기준으로 7천명 정도의 확진자 선이 형성되는 것을 중요한 기준으로 보고 있다"며 "기계적으로 7천명이 넘어가면 바로 시행한다기보다는 먼저 발표를 하고, 시작 시점을 잡아 (대응단계를) 운영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현재 진단검사나 의료 체계가 7천명을 넘긴다고 바로 감당하지 못하는 수준이 되지는 않는다"면서 "의료 및 진단검사 체계 변화가 안착하고 본격적으로 가동되는 데까지도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앞으로 1∼2주의 시간을 갖고 7천명 수준에서 점진적으로 (체계를) 전환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정부가 처음 제시한 전환 기준과는 다소 달라지면서 대응단계 전환 기준이 모호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오미크론 확산세가 가속화하는 상황에서 하루 확진자 수가 7천명을 넘어서면 즉시 `대비단계`(일일 확진자 5천명까지)에서 `대응단계`로 전환한다는 당초 정부 발표보다는 일부 완화된 것이다.
이기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통제관도 지난 14일 "하루 확진자 7천명이 한 번이라도 나오면 오미크론 점유율이 50%가 안 된다고 해도 바로 대응단계를 시행할 계획"이라며 "오미크론은 전파율이 매우 높아서 7천명이 바로 8천∼9천명으로 증가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오미크론 대응단계에 돌입하면 진료체계는 동네 병·의원 중심으로 바뀌게 된다.
지금은 생활치료센터, 감염병전담병원 등 코로나19 치료를 위한 별도의 의료기관이 운영되고 있지만, 앞으로는 지역 이비인후과 등이 코로나19 1차 대응 의료기관 역할을 하게 된다.
대응단계에서는 PCR 검사도 유증상자, 고위험군, 고령자, 밀접접촉자 등으로 대상 범위를 좁혀서 시행하고, 신속항원검사를 확대 시행하기로 했다. 재택치료·자가격리 기간도 10일에서 7일로 줄인다.
하지만 아직은 동네병원의 참여와 신속항원검사 활용에 대한 준비가 완료되지 않은 상태다. 정부는 21일(내일) 오미크론 관련 의료체계 대응 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다.
이에 대해 손 반장은 "일정 기점을 정해서 의료체계가 180도로 바뀌는 것은 오히려 위험하다. 혼란도 너무 클 것"이라며 "오미크론 준비는 다양하게 차근차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동네의원이 오미크론 대응에 참여하는 것은 점진적으로 진행돼야 한다"며 "중증 환자에 집중하는 체계로 전환하는 것이기 때문에 경증·무증상 환자 대한 의료 제공력은 다소 약화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또 앞으로는 재택치료 관리 등에서 지자체의 역할이 커질 것이라며 "지자체 협의체계와 관리 인력 증원 문제도 함께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신속항원검사에 건강보험을 적용한다는 정부 계획에 대해서도 손 반장은 "건보 적용은 의료체계 대응 전환과 맞물린 문제"라며 "현재 신속항원검사는 공식 검사 체계가 아닌데, 공식 체계로 편입하는 구체적인 내용을 추후 발표하겠다"고 말했다.
(사진=연합뉴스)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김현경 기자
khkkim@wowtv.co.kr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