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우리나라의 경제 성장률이 시장의 예상보다 낮은 2%대 초반을 기록하는 데 그칠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됐다.
로버트 슈바라만 노무라 그룹 아시아경제·글로벌시장분석 책임자는 18일 세계경제연구원이 개최한 `2022 한국 및 중국 경제·금융시장 전망: 포스트 팬데믹 세계경제의 구조적 변화` 웨비나에 연사로 나서 이같이 밝혔다.
주요 기관은 우리나라의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3% 정도로 보고 있는데, 이보다 낮을 것이라는 예상이다.
이런 저성장 때문에 한국은행은 연내 기준금리를 추가로 인상하지 않고 1.25%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도 봤다.
한은이 기준금리를 연내 2∼4차례, 최고 1.75%까지 인상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는 시장 분위기와 비교된다.
그는 이런 전망을 한 배경으로 중국 경제의 성장 둔화를 꼽았다. 중국의 성장세가 느려지면 우리나라의 수출 증가세도 주춤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또 국내 가계부채 급증에 따라 당국이 대출을 옥죄고 나서면서 민간소비가 부진해질 수 있다는 점과 내달 대선 결과에 따른 불확실성 증대도 한국경제의 하방 요인으로 꼽았다.
중국경제에 대해서는 "작년 실제 성장률은, 4%로 나온 공식 집계보다 더 낮을 것으로 추정된다"라면서 "올해는 성장 둔화가 더 본격화할 수 있다"라고 내다봤다.
특히 `제로 코로나` 정책으로 인한 비용 상승, 부동산 시장 규제, 지방정부의 대규모 부채 등이 1분기 중국의 경제 위축을 초래하고 있다면서 "대외무역 부문만이 유일하게 중국 경제의 명목 성장을 견인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런 예상에 따라 중국은 주요국과는 반대로 금리 인하 등 완화적인 통화정책을 상당 기간 이어가고, 재정부양을 위한 정부의 지출도 많이 늘릴 것이라는 게 그의 시각이다.
세계 경제에 대해서는 올해 코로나19 팬데믹이 종식 단계에 진입하겠지만, 소득불평등 가속화, 잠재성장률 하락 등 충격 여파가 지속할 것으로 봤다.
(사진=연합뉴스)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김현경 기자
khkkim@wowtv.co.kr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