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경기회복세가 악화될 것으로 내다보며 과감한 구조개혁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 총재는 21일 서울 중구 부영태평빌딩에서 진행된 취임식에서 "한국 경제가 코로나 위기 이후 뉴노멀 전환의 도전을 이겨내고 더 도약할지, 아니면 고령화·생산성 저하로 장기 저성장에 빠질지 예측하기 어려운 시기에 놓여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도약과 저성장의 기로에서 올바른 선택을 위해서는 경제정책의 프레임(틀)을 과감히 바꿔야 한다"며 "이제는 민간 주도로 창의적이고 질적인 성장을 도모하고 소수의 산업과 국가로 집중된 수출·공급망도 다변화하는 등의 구조 개혁을 통해 자원 재배분 노력을 서둘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취임 일성부터 우리 경제의 구조적 문제에 대해 강조하는 배경도 설명했다.
그는 "한은의 가장 큰 임무가 거시경제 안정을 도모해 국민의 신뢰를 얻는 것이지만, 우리 경제가 당면한 중장기적 도전을 생각할 때 우리의 책임이 통화정책의 테두리에만 머무를 수 없다"고 말했다.
통화정책 방향과 관련해서는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와 미국의 예상보다 빠른 통화정책 정상화, 오미크론 변이 확산에 따른 중국 경기둔화 가능성 등이 통화정책의 어려움을 가중하고 있다"며 "성장과 물가 간 상충관계(trade-off)가 통화정책을 더욱 제약하는 상황인 만큼 정교하게 균형을 잡아 정책을 운용할 때"라고 밝혔다.
당면 과제로는 양극화와 가계·정부 부채를 꼽았다.
이 총재는 "지식 집약 산업으로의 전환 과정에서 소득 불평등이 확대되고, 인구 고령화로 청년 실업과 노인 빈곤, 지역 간 불균형 문제도 커지고 있다"며 "지나친 양극화는 사회적 갈등을 키워 성장 잠재력을 훼손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부채 문제에 대해서는 "부채의 지속적 확대가 자칫 붕괴로 이어지면 엄청난 사회적 비용을 초래한다는 점을 과거 경험으로 알고 있다"며 "거시경제 안정을 추구하는 한은은 부채 연착륙에 관심을 둬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이 총재는 "중장기적으로 우리 경제에 닥칠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통화정책만으로는 안되고, 재정정책과 구조개혁이 함께 이뤄져야 하기에 한국은행이 이 같은 문제를 연구해 해결책을 제시하는 데 힘을 보태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은 직원들에게는 전문성 공유, 외부와 소통, 글로벌 시각 등을 당부했다.
특히 그는 "국제사회의 변화 흐름을 놓치지 말아야 한다"면서 "CBDC의 경우, 이에 따른 제반 환경변화가 공공 지급결제 인프라와 통화정책의 유효성 등에 큰 영향을 주는 만큼 우리의 생존 문제로 생각하고 철저히 준비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은 직원들의 처우 개선도 약속했다.
이 총재는 "개인의 동기부여와 조직의 성과를 위해 사명감이나 보람 못지않게 인사·조직 운영과 급여 등의 만족도 중요하다는 점을 잘 알고 있다"며 "예산이나 제도 등 여러 제약으로 첫술에 배부를 수는 없겠지만, 하나둘씩 근무 여건을 개선하고 사기를 진작할 방안을 찾아보자"고 말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