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국방부 국제경제 자문위원인 제임스 리카즈는 한국경제TV와의 인터뷰에서,
"미국 증시가 올해 10월부터 본격적인 하락장에 들어갈 것"이라며 "에너지 업종에 주목하라"고 조언했습니다.
이지효 기자가 제임스 리카즈를 직접 만났습니다.
<기자>
제임스 리카즈 미 국방부 국제경제 자문위원은
비정상적으로 풀렸던 유동성이 회수되면 10월부터 본격적인 하락장에 들어갈 것으로 예상합니다.
월가에서 애널리스트들의 `매수` 추천이 늘고 있고 있는 것과는 대조적입니다.
<제임스 리카즈 / 미 국방부 국제경제 자문위원: 연준은 금리를 천천히 인상 중이며, 공급망도 한순간에 무너지지는 않습니다. 경제 재재도 파급을 체감하기까지 시간이 걸리죠. 하락세는 시작됐으나 본격적인 하락은 올 가을 10월쯤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여러 섹터 가운데 기술주가 가장 큰 타격을 입게 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제임스 리카즈 / 미 국방부 국제경제 자문위원: 소위 기술주 특수는 사라졌으며, 기술 기업들은 저금리에 의존합니다. 고금리와 팬데믹 시대 종결은 기술주에 악재입니다. 앞으로 관심을 가질 섹터로는 에너지를 들 수 있습니다.>
리카즈는 현 상황에서 주가를 방어할 업종으로 에너지를 꼽았고,
구체적으로는 엑슨 모빌, 쉘, BP, 토탈, 쉐브론 등을 들었습니다.
<제임스 리카즈 / 미 국방부 국제경제 자문위원: 해결책은 석유, 천연가스, 원자력 에너지입니다. 이들을 버리기란 불가능하며 앞으로도 좋은 실적을 낼 것입니다. 또한 주가가 급락했던 섹터라 흥미롭고요.>
그간 저서를 통해 안전 자산인 금 보유를 주장해 왔던 만큼,
포트폴리오의 10%를 금에 투자하라는 당부도 잊지 않았습니다.
금을 캐는 채광 기업도 매력적인 투자처라고 말합니다.
<제임스 리카즈 / 미 국방부 국제경제 자문위원: 중소형 채굴기업은 자원 활용을 위한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습니다. 결국 베릭 골드, 뉴몬트, 아이엠골드 등 세계적으로 큰 기업들이 인수하게 됩니다. 바이어 프리미엄이라는 추가 이익을 얻으니 매력적인 투자라 할 수 있죠.>
다만 곧 다가올 대세 하락장이 저가 매수의 기회가 될 수 있다며,
공격적인 투자보다 현금 비중을 늘릴 필요가 있다고 조언합니다.
<제임스 리카즈 / 미 국방부 국제경제자문위원: 평소보다 더 많은 현금을 보유하세요. 30%도 좋습니다. 다른 이들이 손실에 아무 것도 못 할 때 현금 보유자들은 할인가에 주식을 사들일 수 있습니다.>
한국경제TV 이지효입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