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wowtv.co.kr/wowtv_news/dnrs/20220119/B20220119085919103.jpg)
LG화학과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이 탄소중립 기술 개발을 위한 기술이전 협약식과 공동연구실 현판식을 개최했다고 26일 밝혔다.
LG화학과 KIST는 지난해 4월 탄소중립 수소 에너지 등 관련기술의 공동 연구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유망 탄소중립 기술 과제 10개를 도출했다.
이 가운데 `CO₂(이산화탄소)를 활용한 에틸렌의 전기화학적 생산 기술`과 `바이오매스/부생가스를 활용한 유기산의 생물학적 생산 기술` 이전을 위한 공동연구실을 출범하기로 결정했다.
이산화탄소(CO₂)를 활용한 에틸렌의 전기화학적 생산 기술은 전기를 이용해 이산화탄소를 직접 PVC 등 다양한 석유화학 제품의 원료로 쓰이는 에틸렌(C₂H₄)으로 전환하는 기술이다.
회사는 해당 기술을 활용하면 이산화탄소로 탄소중립 실현에 기여하고 경제성 높은 에틸렌까지 직접 생산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바이오매스/부생가스를 활용한 유기산의 생물학적 생산 기술은 KIST가 독자적으로 발굴한 원천기술이다.
발효당과 같은 바이오매스나 산업 공정에서 발생하는 부생가스로 친환경 소재 생산 필수 원료를 만든다.
사탕수수나 옥수수 외에도 농업이나 임업에서 나오는 나무 폐기물 등을 원료로 확장할 수 있어 식량자원 보호와 탄소배출 저감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LG화학은 지속가능성을 선도하는 과학기업으로 나아가기 위한 R&D 전략을 기반으로 KIST와 협력 범위를 수소 생산 및 활용, 저탄소 혁신공정 등으로 넓히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유지영 LG화학 부사장은 "국내 최고 수준의 탄소중립 기술을 보유한 KIST와 협력을 통해 관련 원천 기술 확보와 상용화를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LG화학은 지속가능성을 선도하는 과학기업으로 탄소중립 관련 혁신 기술과 R&D 역량을 지속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