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wowtv.co.kr/wowtv_news/dnrs/20220501/B20220501075544800.jpg)
국민 10명 중 6명가량은 여성가족부가 제 역할과 기능을 못 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국민 10명 중 8명가량은 여가부의 기능이 필요하다는 데 공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일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 따르면 연구원은 올해 1월 5∼20일 전국 만 18∼69세 성인 남녀 5천 명을 대상으로 여가부에 대한 인식 등을 조사한 `KWDI 브리프(Brief)` 자료를 최근 펴냈다.
여가부 주요 사업에 대한 인지도를 4점 척도(전혀 모른다∼잘 알고 있다)로 물어본 결과 인지도는 평균 2.53점으로 다소 낮은 편이었다. 특히 정책의 성별 영향 분석·평가(2.34점)와 청소년 활동 진흥 및 역량 개발(2.38점)에 대한 인지도가 낮은 수준이었다.
다만 여가부 주요 사업에 대한 필요도를 4점 척도(전혀 필요 없다∼매우 필요하다)로 물어본 결과, 필요도 평균은 3.02점으로 나타났다.
사업별로 `어느 정도 필요하다`와 `매우 필요하다`는 응답 비중은 67.1∼87.4%의 분포를 보였으며, 평균 80.4%에 달했다.
여가부 주요 사업에 대한 인지도는 낮아도 주요 기능에 대한 국민적 동의 수준은 매우 높다고 연구진은 분석했다.
![](https://img.wowtv.co.kr/wowtv_news/dnrs/20220501/B20220501075430483.jpg)
성별·연령별로는 20대 이하 남성(2.68점)이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가장 낮았고, 20대 이하 여성(3.18점)은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가장 높았다.
다만 20대 이하 남성 집단에서도 여가부 12개 주요 사업 가운데 `정책의 성별 영향 분석·평가 사업`을 제외한 11개 사업에 대해 `필요하다`는 의견이 우세했다.
여가부가 사회적으로 요구되는 역할·기능을 제대로 하고 있는지 4점 척도(전혀 그렇지 않다∼매우 그렇다)로 묻자, 전체 응답자 평균은 2.25점으로 낮은 편이었다.
성별로 보면 여성(2.39점)이 남성(2.12점)보다는 높은 점수를 매겼으나, 여성도 긍정적 평가보다 부정적 평가가 많았다.
`전혀 그렇지 않다`와 `별로 그렇지 않다`를 합한 응답 비중은 57.8%(남성 62.1%, 여성 53.3%)였다.
성별·연령별로는 남성은 20대 이하(1.96점)의 점수가 가장 낮았고, 여성은 40대(2.45점)가 가장 높았다.
부정적으로 평가한 응답자에게 이유를 물어본 결과(2개까지 선택), `성평등한 사회 구조 변화보다 여성 지원에 치중해서(49.5%)란 응답이 가장 많았다. 이어 `성차별 문제 발생 시 제대로 대응하지 못해서(39.5%)`, `공직사회 성희롱·성폭력 발생 시 적극적으로 개입하지 못해서(36.8%)` 등의 순이었다.
![](https://img.wowtv.co.kr/wowtv_news/dnrs/20220501/B20220501075453013.jpg)
성별로 보면 남성은 `성평등한 사회 구조 변화보다 여성 지원에 치중해서`(61.8%), `성차별 문제 발생 시 제대로 대응하지 못해서`(36.0%) 순이었다. 여성의 경우 `공직사회 성희롱·성폭력 발생 시 적극적으로 개입하지 못해서`(45.8%), `성차별 문제 발생 시 제대로 대응하지 못해서`(43.7%)를 꼽은 응답자가 많았다.
연구진은 "여가부가 사회적으로 요구되는 역할과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했다는 평가는 단지 청년 남성만의 의견이라고 보기 어렵다"며 "최근 몇 년 사이 발생한 성차별·성희롱 사건 대응에 있어 주무부처로서 국민의 기대를 충족했는지 평가하고 강화된 대응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여가부 기능 중 강화해야 할 것(1+2순위)으로는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지원`(48.5%)을 꼽은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이어 `여성폭력 방지 및 피해자 보호(47.4%)`, `아이돌봄·다문화가족 등 다양한 가족 지원(38.4%)` 순이었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여성 경제활동 참여 지원`(43.9%)과 `다양한 가족 지원`(42.3%), 여성은 `여성폭력 방지`(53.6%)와 `여성 경제활동 참여 지원`(53.2%)의 응답자 비율이 높았다.
부처 이름을 바꾼다면 반드시 포함해야 할 단어(2개까지 선택), 성평등 또는 양성평등이 37.1%로 가장 많았다. 이어 가족(34.3%), 인권(26.4%), 평등(25.4%) 순이었다.
연구진은 "향후 더 강화해야 할 기능에 대해 남녀 모두 `여성 지원 업무`를 꼽았다는 점, 부처 명칭에 `(양)성평등`을 포함해야 한다는 요구가 가장 높았다는 점은 우리사회의 성평등한 변화를 위해 일하는 여가부의 역할에 대한 국민적 기대가 여전히 높음을 보여준다"고 분석했다.
이어 "다만 아이돌봄·다문화가족 등 다양한 가족 지원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 부처 명칭에 가족을 포함해야 한다는 의견도 높다"며 "향후 여가부 개편이 추진된다면 성평등 관점에서 가족·돌봄 정책을 보다 안정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는 방안 또한 중요하게 고려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사진=연합뉴스/한국여성정책연구원)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이휘경 기자
ddehg@wowtv.co.kr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