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은행권 가계대출 약정의 약 40%는 4% 이상 금리를 조건으로 체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한국은행의 `금융기관 가중평균 금리` 통계에 따르면 예금은행에서 지난 3월 이뤄진 신규 가계대출 중 36.1%의 금리는 4% 이상으로 집계됐다. 5% 이상 금리로 약정된 가계대출도 9.4%나 있었다. 3∼4% 사이의 대출금리(48.2%)가 가장 흔했고, 3% 미만 금리는 15.7%에 그쳤다. 특히 2% 미만 금리는 1.6%에 불과했다.
작년 12월 말과 비교하면, 4% 이상 금리 비중이 18.3%에서 불과 3개월 사이 거의 두 배인 36.1%로 뛰었다. 5% 이상 금리의 가계대출 비율도 6.7%에서 9.4%로 높아졌다.
반대로 3% 미만 금리 비중은 25.0%에서 15.7%까지 급감했다. 코로나19 발생으로 저금리 기조가 절정이었던 2020년 8월 당시에는 가계대출 89.0%의 금리가 3% 미만이었고, 2%에 미치지 못하는 금리도 13.1%나 차지했다.
약 2년 만에 가계대출 금리의 주류가 `2∼3%대`에서 `3∼4%대`로 이동했고, 기준금리 인상과 물가상승·긴축 전망을 반영한 시장금리 상승 등과 함께 올해 하반기에는 `4∼5%대`가 일반적 대출금리 수준으로 굳어질 전망이다.
이처럼 금리 상승 추세가 뚜렷하면 대출자들은 고정금리로 위험을 피하는 게 일반적이지만, 최근에는 반대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3월 예금은행의 신규 가계대출 가운데 고정금리 대출은 19.5%에 불과했다. 2월(22.1%)과 비교해, 한 달 사이 2.6%포인트나 오히려 더 떨어졌다. 즉 새 가계대출의 80.5%가 여전히 변동금리를 따른다는 뜻이다.
변동금리 비중은 코로나19 유행 직전인 2019년에 연평균 53.0%, 2020년 초저금리 환경 속에서도 63.8% 수준이었다. 불과 2∼3년 사이 변동금리 비중이 20∼30%포인트나 뛴 것이다.
기존 가계대출을 포함한 잔액 기준 고정금리 대출 비중은 3월 현재 23.0%로, 2014년 3월(21.4%) 이후 8년 만에 최저 수준까지 떨어졌다.
한은 관계자는 "금리 상승기에 변동금리 비중이 오히려 커진다는 것은 대출자와 금융기관 모두에 위험 요인"이라고 우려했다.
금리 상승기에 고정금리를 선택하는 대출자가 더 늘어나는 이례적 현상의 가장 큰 원인은 현재 고정금리가 변동금리보다 더 높기 때문이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의 주택담보대출 혼합형(고정형) 금리는 13일 기준 연 4.280∼6.590% 수준이다. 작년 말(3.600∼4.978%)과 비교해 올해 들어 5개월여 사이 상단이 1.612%포인트나 높아졌다.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는 3.420∼5.092%로, 고정금리와 비교해 상단이 0.860%포인트나 낮다.
지난해 말까지만 해도 고정·변동금리의 격차가 거의 없었지만 약 5개월 사이 거의 1%포인트나 벌어지자 아무리 향후 금리 상승을 고려해도 금융소비자 입장에서 선뜻 고정금리를 선택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은행권 전문가들은 일단 올해와 내년 한국과 미국의 기준금리 추가 인상 가능성 등을 고려할 때 1년 이상 대출을 받을 경우 지금은 다소 높더라도 고정금리 쪽이 안전하다고 조언하고 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현재의 금리 차이가 부담스러워 불가피하게 당장 변동금리로 대출을 받았더라도, 앞으로 금리 추이를 봐가며 고정금리로 갈아타는(대환대출) 방법을 꼭 염두에 둬야 한다"며 "고정금리 대환대출에 중도상환수수료를 면제하는 경우도 있으니 자주 은행과 상담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사진=연합뉴스)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이휘경 기자
ddehg@wowtv.co.kr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