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가 0.25%포인트 오르면 민간소비는 최고 0.15%까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 동향분석팀은 27일 발표한 `금리 상승의 내수 부문별 영향 점검` 보고서에서 "지난해 8월부터 이어지는 기준금리 인상의 영향이 시차를 두고 점차 가시화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동향분석팀이 거시모형을 통해 분석한 결과 민간 소비의 금리 탄력성(기준금리 0.25%포인트 인상시 소비·투자가 얼마나 축소되는지 정도)은 평균 0.04∼0.15로 나타났다. 기준금리가 0.25포인트(p) 올랐을 경우 민간소비가 최대 0.15% 감소할 수 있다는 의미다.
이는 설비투자(0.07∼0.15)나 건설투자(0.07∼0.13) 금리탄력성과 차이가 크지 않지만, 민간소비가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훨씬 크기 때문에 성장률 하락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클 것이라는 분석이다.
민간소비는에서는 주로 자산가격 하락과 이자수지 악화를 통해 소비를 둔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금리 상승으로 최근 주가가 상당 폭 하락한 데 더해 집값 역시 내려갈 것이라는 기대감이 형성되며 향후 소비가 더 제약될 수 있다는 것이다.
과거 데이터를 보면 기준금리가 0.25%포인트 오른 이후 6분기에 접어들면 주가와 집값 하락 영향에 따른 민간소비 감소 폭은 최고 0.12%에 달했다.
또 한은의 분석에 따르면 금리 상승기중 대출금리가 예금금리보다 빠르게 상승함에 따라 가계의 이자수지가 악화되면서 소비여력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비투자 부문에서는 금리 상승이 자금조달비용을 늘려 설비투자를 둔화시킬 수 있지만 환율 부담은 낮출 수 있을 것으로 봤다.
우리나라 기준금리가 인상되면 달러를 사들이는 원화 가치가 높아지는 압력이 발생하는데, 이 경우 자본재를 수입해야 하는 업체 입장에서 비용 부담이 줄어들 수 있다.
업종별로는 비제조업이 금리 상승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고, IT 제조업의 민감도가 가장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투자는 건설자재가격 상승으로 건설사들의 수익성이 악화된 가운데 금리 상승으로 이자부담이 확대될 경우 재무건전성이 취약한 일부 건설사의 자금조달사정이 악화될 가능성이 제기됐다.
보고서는 "금리 상승으로 인한 수요 둔화는 어느 정도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되나, 이로 인한 비용보다는 물가 안정과 같은 편익이 더 크다는 점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면서 "고용과 임금의 견조한 개선과 IT 제조업의 대규모 투자계획, 정부의 주택공급 확대 기조 등은 금리 충격을 완화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강조했다.
다만 보고서는 "금리 상승의 영향이 저소득·한계·과다차입 가계와 기업 등 취약부문에서 크게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