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재유행으로 감기약의 수급에 비상이 걸리면서 제약사들이 여름휴가 없이 공장을 돌리며 생산에 나서고 있습니다.
정부 역시 행정처분 유예 등 당근을 제시하며 생산량 확대를 독려하고 있지만, 업계는 시큰둥한 반응입니다.
박승원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신규 확진자가 하루 4만명을 돌파하며 66일만에 최다를 기록한 지난달.
재유행이 본격화되면서 일부 지역에선 감기약의 품절사태가 빚어지기도 했습니다.
여전히 감기약 수요 급증이 이어지면서 제약사들이 휴가기간에도 공장을 가동하기로 했습니다.
제약사들은 8월 첫 주에 전사 휴가에 들어가는 게 일반적이지만, 올해는 셧다운 없이 공장을 가동하거나 아예 여름휴가를 9월 이후로 연기한 겁니다.
이 과정에서 정부가 행정처분 유예 등 인센티브를 3개월 연장한다고 밝혔지만, 해당 기업들은 크게 반기지 않는 분위기입니다.
정부의 인센티브보다 업계가 강력하게 요구하는 `사용량 약가연동제`가 개선되지 않고 있기 때문입니다.
약을 많이 팔수록 약값을 깎는 `사용량 약가연동제`는 단기적으론 실적에 보탬이 되겠지만, 중장기적으론 손해를 볼 수 밖에 없다는 게 업계의 지적입니다.
실제 LG화학의 경우 당뇨병 신약(제미글로)이 지난 2020년 국산 신약 최초로 1천억원의 연매출을 올렸지만, 허가 이후 수차례 사용량 약가인하 협상(단일제+복합제)을 통해 약가가 다섯 번이나 인하됐습니다.
여기에 손해를 감수하며 감기약 생산에 나서면서 다른 의약품 생산에 차질이 불가피한 상황입니다.
[제약업계 관계자 : 그쪽(감기약 생산)이 확 늘어나는 것만 좋은 게 아니라 포기하는 부분이 생길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시럽제를 이걸 말고 다른 것을 생산해야 하는데, 급해서 감기약부터 했다 그러면 다른 것은 못하게 되는 부분이 있고…]
코로나19 재유행으로 감기약 수급에 비상이 걸린 상황.
정부가 업계의 발목을 잡는 제도는 개선하지 않은채 감기약 생산 확대만 독려한다는 비난을 사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박승원입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