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서울 아파트 전월세 시장의 침체도 가속화하고 있다.
28일 부동산 빅데이터 업체 아실에 따르면 27일 기준 서울 아파트 전월세 물건은 총 5만5천114건으로 한달 전보다 8.0% 증가했다. 제주(16.0%), 광주광역시(9.0%), 경기(8.6%)에 이어 전국에서 4번째로 증가폭이 큰 것이다. 부산(8.0%)과 인천·대구(5.8%) 등 수도권과 주요 지방 광역시의 물건도 한달 전에 비해 전월세 물건이 더 늘었다.
아실 통계를 보면 현재 5만5천건이 넘는 서울 아파트 전월세 물건 수는 2년 전인 2020년 8월27일 2만9천295건과 비교해 88.1% 많다. 물건 수만 보면 임대차2법 시행 전인 2020년 8월 이전 상황으로 사실상 회귀한 것이다.
이 가운데 순수 전세물건은 2년 전 1만5천5천828건에서 현재 2배가 넘는 3만4천496건으로 11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월세 물건이 1만3천467건에서 2만616건으로 53% 늘어난 것과 비교해 증가폭이 2배 이상이다.
최근 한달 종로구는 전세물건이 411건으로 한 달 전보다 23.7% 증가했고, 마포구는 2천10건으로 한 달 새 20.8% 늘었다. 또 구로구(19.4%), 광진구(17.7%), 관악구(16.8%), 강서구(14.8%), 성북구(13.5%) 등도 두 자릿수 이상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 25개 구에서 최근 한달새 전월세 물건이 감소한 곳은 강북구(480건, -1.3%)가 유일하다.
이 때문에 전셋값도 약세다. 한국부동산원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6.48% 올랐던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올해 들어 7월까지 0.46% 떨어졌다. 2월부터 6개월 연속 하락세다. 계약갱신권 소진 물건이 4년 치 전세를 한꺼번에 올리면서 전셋값이 급등할 것이라는 일부 전문가들의 예상이 완전히 빗나간 것이다.
전문가들은 최근 전세시장 약세에는 고금리와 대출 규제가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고 있다.
금리 인상 여파로 전세자금 대출 금리가 현재 4%대로 치솟으면서 대출금리가 월세전환이율(통상 3.5%)보다 높아지는 `역전현상`이 발생하자 보증금을 올려주는 대신 월세로 돌리는 반전세 수요가 늘어난 것이다.
이 때문에 시장에선 전월세 계약 만기가 지났는데도 보증금을 돌려주지 못하는 `역전세난`이 현실화할 조짐이다. 경기·인천 등 수도권에서 이미 곳곳에서 역전세난에 따른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는데 서울도 본격화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강남권도 전셋값을 시세보다 최소 1억∼2억원은 낮춰줘야 계약이 이뤄질 정도로 서울 곳곳에서 `세입자 모시기`가 벌어지고 있다는 게 현지 중개업소의 설명이다. 송파구 잠실동 리센츠·엘스 등은 13억∼14억원짜리 전용면적 84㎡ 전세를 11억∼12억원 정도 낮춘 것만 계약이 이뤄진다. 강북도 싼 전세만 일부 거래가 이뤄질 뿐 찾는 사람이 없다.
정부가 올해부터 시행하는 `상생임대인` 제도도 신규보다는 재계약 수요 증가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부동산R114 여경희 수석연구원은 "이달에 기준금리가 연 2.75%로 올랐고, 연말까지 3% 수준으로 올린다는 게 금융당국의 목표여서 금리는 매매나 전세시장을 막론하고 주택시장에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라며 "연말까지 전세도 현재의 약세가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사진=연합뉴스)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이휘경 기자
ddehg@wowtv.co.kr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