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wowtv.co.kr/wowtv_news/dnrs/20220905/B20220905064451900.jpg)
최근 가스·전력 도매가격이 치솟으면서 한국가스공사와 한국전력공사의 부실 위험이 더욱 커지고 있다.
가스공사의 9월분 가스 도매가격은 14만원을 웃돌아 1년 만에 2.4배가 됐고, 가스 가격에 연동되는 전력 도매가격은 이달 들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로 인해 공공요금 인상 압박이 더욱 고조되고 있지만 지난달 가스·전기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8%대인 점을 고려하면 인상이 쉽지 않아 정부의 고민이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5일 전력거래소에 따르면 가스공사의 9월분 가스 도매가격(열량단가)은 Gcal(기가칼로리)당 14만4천634원으로 지난달보다 13.8% 상승했다.
이는 지난해 동월의 2.4배 수준이며, 2년 전인 2020년 9월 대비로는 4.3배에 달한다.
가스 도매가격은 6월 7만7천원에서 7월 9만1천원, 8월 12만7천원에 이어 9월 14만원 수준으로 계속 우상향 곡선을 그리고 있다.
최근 러시아가 유럽으로 향하는 천연가스 공급을 감축하겠다고 선언한 이후 각국의 가스 확보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면서 가스 가격이 치솟고 있는 것이다.
가스 도매가격이 오르면서 전력 도매가격도 역대 최고치를 찍었다. 전력 도매가격에는 여러 에너지원 중 가스 가격이 가장 크게 반영된다.
한전이 발전사에서 전력을 사 올 때 적용되는 전력 도매가격(SMP·계통한계가격)은 이달 2일(육지 기준) kWh(킬로와트시)당 245.42원을 기록해 사상 최고였다.
바로 전날인 1일에 228.96원으로 2012년 2월 8일(225.17원)의 종전 기록을 10년 7개월 만에 경신했는데 하루 만에 또다시 기록을 갈아치웠다. 이후 3일(235.53원)과 4일(205.48원)에는 소폭 하락했지만 여전히 200원을 웃돌고 있다.
월평균 기준으로는 올해 4월(201.58원)에 유일하게 200원을 넘었는데 최근의 가스 도매가격 상승분을 고려하면 9월에도 200원을 훌쩍 넘을 전망이다.
공공요금의 물가 상승률이 높은 상황이어서 가스공사와 한전의 부실을 줄이기 위한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가스·전기요금 인상은 쉽지 않은 현실이다.
더욱이 다음 달 도시가스 요금 중 정산단가와 전기요금 중 기준연료비의 동시 인상이 예정돼 있어 10월에는 두 공공요금의 물가 상승률이 20%를 넘을 가능성도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내달 도시가스 요금의 정산단가 인상 시 연료비에 연동되는 기준연료비도 함께 올리는 방안을 기획재정부와 협의 중이다.
(사진=연합뉴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