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개발연구원(KDI)이 글로벌 경기 둔화 영향으로 최근 제조업을 중심으로 우리 경제의 회복세가 약화됐다고 진단했다.
경제 상황에 대해 `완만한 경기 회복세`라고 했던 지난 달보다 더 부정적인 평가인 셈이다
KDI는 7일 발간한 `9월 경제동향`에서 "최근 우리 경제는 서비스업의 개선에도 불구하고 대외 수요가 둔화하며 경기 회복세가 약해지는 모습"이라며 "글로벌 경기둔화의 영향이 파급되면서 제조업을 중심으로 경기 하방 압력이 확대됐다"고 밝혔다.
앞서 KDI는 6월 경제동향에서 전 세계 공급망 교란, 원자재 가격 급등 등 대외 여건 악화를 지적하며 올해 처음으로 `경기 회복세 약화`를 언급한 바 있다.
이어 7∼8월 경제동향에서는 완만한 경기 회복세를 이어가고 있다고 평가했지만 다시 경기하방에 대한 우려가 커진 것이다.
KDI에 따르면 한국 경제의 주요 동력인 수출이 둔화한 것이 경기회복세의 걸림돌로 꼽혔다.
지난달 수출은 1년 전보다 6.6% 늘어나는 데 그쳐 전월(9.2%)보다 낮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특히 수출 증가세를 주도해온 반도체가 7.8% 줄어 26개월 만에 감소세로 돌아섰다.
업종 중에서는 반도체 산업의 하락세가 두드러졌다.
7월 반도체 생산(계절조정 기준)은 전월 대비 3.4% 감소했고 출하는 같은 기간 26.1% 크게 줄었다.
가동률은 4월 고점(139.4) 대비 14.3% 하락한 119.5에 그쳤으며, 출하 대비 재고 비율(재고율)은 전월의 63.0%에서 95.7%로 대폭 상승했다.
KDI는 "반도체 수출 가격이 전년 동월 대비 18.5% 하락해 반도체 수요가 빠르게 둔화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며 "반도체 산업의 경기하강은 향후 우리 경제의 성장세에 위험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반도체 재고가 쌓이면서 7월 전체 제조업 재고율은 전월보다 1.3%포인트 오른 125.5%로 2년 2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중국에 대한 수출도 줄면서 대중 무역수지가 1992년 한중 수교 이후 처음으로 넉 달 연속 적자를 기록하는 등 경기 하방 압력이 커지는 모습이다.
정규철 KDI 경제전망실장은 "경제동향에서 밝힌 우려들이 단기간에 해소되기 쉽지 않아 보인다"며 "중국에서 다시 봉쇄 조치가 이뤄지는 등 글로벌 여건은 안 좋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