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wowtv.co.kr/wowtv_news/dnrs/20220922/B20220922083618023.jpg)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2일 미국 연준의 향후 긴축 경로 등이 예상 수준을 뛰어넘었다며 최적의 정책조합을 모색할 것이라고 밝혔다.
추 부총리는 이날 서울 은행회관에서 열린 비상거시경제금융회의에 참석해 이 같이 말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미국 FOMC의 금리 인상 결정에 따른 국제금융시장 동향을 점검하고 국내 금융시장 영향 및 향후 정책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는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김주현 금융위원장,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참석했다.
추 부총리는 "새벽 미국 연준은 6월과 7월에 이어 세 차례 연속으로 75bp 금리 인상을 단행했다"며 "올해 남은 두 번의 회의에서 125bp 추가 인상을 전망하면서 네 차례 연속 75bp 인상 가능성도 열어 뒀다"고 분석했다.
이어 "미 연준의 파월 의장 또한 제약적 수준까지 금리를 올리고 현재 기조를 상당기간 유지할 것이라고 밝히는 등 인플레에 대한 강한 대응 의지를 재확인했다"며 "국제 금융시장 변동성이 다소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https://img.wowtv.co.kr/wowtv_news/dnrs/20220922/B20220922083649263.jpg)
추 부총리는 "미 연준의 고강도 긴축, 중국의 경기 둔화 가속화, 신흥국 위기 가능성 고조 등 다양한 시나리오 별로 금융, 외환 시장 및 실물 경제에의 영향을 면밀히 점검할 것"이라며 "핵심 지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말했다.
추 부총리는 또 "원달러 환율 수준 이면에서 가격 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세부 요인들에 대해 촘촘히 관리할 것"이라며 "연기금 등 국내거주자의 해외투자 흐름, 수출 및 수입업체들의 외화자금 수급 애로 해소 등 외환 수급 불균형을 완화하기 위한 다각적인 대응방안을 시장 상황에 맞춰 조치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외에 정부는 정책 공조를 통해 세계국채지수(WGBI) 편입, 개인투자용 국채 도입 등을 진행할 예정이다.
추 부총리는 "금융, 외환 시장의 높은 불확실성이 상당기간 지속될 가능성이 있다"며 "긴장의 끈을 놓지 않고 시장 안정을 위해 최선을 다해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