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wowtv.co.kr/wowtv_news/dnrs/20220405/B20220405173006250.jpg)
대출금리 3% 수준 대비 1%p 오를 경우 대출 증가폭이 18.1조 원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홍성국 의원(더불어민주당·기획재정위원회)이 한국은행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대출금리 3% 수준 대비 1%p가 오를 경우, 가계대출 증가 규모는 34.1조 원에서 16.0조 원으로 18.1조 원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2년부터 지난해 3분기까지 가계부채 평균 증감 규모를 계산한 결과 대출금리가 3%일 때 대출은 분기당 평균 34.1조 원 늘어나는데, 금리가 오르면 대출 증가세가 여기서 일정 폭 줄어든다는 것이다.
현재 대출금리가 4%대에 머물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금리 인상에 따른 대출 억제 규모는 더 커질 전망이다.
다음 달 금융통화위원회 회의에서 사상 두 번째 빅스텝(기준금리 50bp 인상)이 예상되고 있다.
한국은행 역사상 처음으로 한 해 4연속 금리인상으로, 미국 연준(연방준비제도·Fed)가 기준금리를 대폭 인상하면서 당분간 국내 대출금리 역시 인상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가계대출이 대폭 둔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홍성국 의원은 "금리가 급격히 오르면 생활에 필수적인 대출마저 참고 꺼리거나, 고금리로 대출 장벽이 높아져 돈을 빌리지 못한 취약계층의 삶이 더 곤궁해질 수 있다"며 "금리인상의 고통이 제도권 금융시스템에서 소외된 취약계층에 가혹하지 않도록 금융당국이 취약계층에 대한 포용적 금융 정책을 확대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