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wowtv.co.kr/wowtv_news/dnrs/20220714/B20220714093137110.jpg)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조선산업 초격차 확보를 위해 대표적인 난제로 꼽히는 원하청 구조 개선에 적극 나서겠다고 말했다.
추 부총리는 19일 오전 정부 서울청사에서 비상경제장관회의를 열고 이 같이 언급했다. 이는 지난 7일 윤석열 대통령 주재 비상경제민생회의에서 논의된 `국제수지 대응방향` 후속조치의 일환이다.
추 부총리는 "조선산업의 원하청 이중 구조는 오랜 기간 이어져 온 해묵은 난제로 산업 생산성을 떨어뜨리고 불공정을 심화하는 구조적 문제로 제기됐다"며 "근로자 간 처우, 임금 격차가 심화되고 인력 유출과 경쟁력 약화 등의 악순환도 발생했다"고 지적했다.
정부는 이를 반영해 원하청 노사의 자율적 상생과 협력에 기반한 이중구조를 개선하기로 했다. 불합리한 하도급 관행개선 등 공정 질서 확립과 더불어 직무, 숙련도에 기반한 임금 체계를 적용할 계획이다.
정부는 또 45세인 조선업 희망공채 연령제한을 폐지하고 신규 입직자 취업정착금을 신설하는 등 신규 인력 유입을 늘릴 방침이다.
추 부총리는 "원하청 노사간 상생, 발전 협약 체결을 중재하는 한편 필요한 제도 개선과 재정 지원 등을 뒷받침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정식 교옹노동부 장관도 이 자리에서 "원하청 상생협력 실천협약을 체결하도록 하고 정부가 지원할 것"이라며 "기존 근로자들이 떠나지 않고 계속 일하면서 숙련 기능인력이 우대받는 생태계를 구축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조선업 하청 근로자를 산업 재해 및 임금 체불로부터 빈틈없이 보호할 것"이라며 "향후 5년간 매년 모니터링하여 계속 수정, 보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https://img.wowtv.co.kr/wowtv_news/dnrs/20221019/B20221019100059560.jpg)
정부는 비자 제도 개선을 통해 외국 인력을 적극 활용하고 내국인 생산 인력도 연간 3천여명 이상 추가 양성하기로 했다. 내년부터 숙련기능인력 전환제도(E-7-4) 내 조선업 별도 쿼터를 신설하는 것 등이 대표적이다. 특별연장 근로 가용 기간도 연간 90일에서 180일로 한시적 확대한다.
더불어 정부는 향후 수요 확대가 예상되는 친환경, 자율운항 선박 등의 핵심기술 개발에 1,400억원 이상을 투입하고 해상풍력 전용 설치 선 관련 핵심 기자재, 수소생산 설비 등 미래 선박과 연계된 기술 개발을 지원할 예정이다.
추 부총리는 "내년 인공지능(AI) 활용 설계 등을 시작으로 선박제조 전 공정의 디지털화를 단계적으로 추진할 것"이라며 "상대적으로 투자 여력이 부족한 중소 조선사를 위해 선수금 환급보증(RG)을 적기 발급하고 개별 기자재가 아닌 패키지 단위 연구개발(R&D) 추진, 해외마케팅 지원 등도 하겠다"고 말했다.
![](https://img.wowtv.co.kr/wowtv_news/dnrs/20221019/B20221019100125060.jpg)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