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감소 직격탄' 대기업 재고자산 165조…역대 최대 규모

입력 2022-11-22 07:19   수정 2022-11-22 07:22





국내 주요 기업들의 올해 3분기 말 기준 재고 자산 규모가 작년 말보다 36%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가 매출 기준 상위 500대 기업 가운데 재고 자산을 공시한 195개 기업의 재고 자산 변동 현황을 분석한 결과, 이들 기업의 3분기 말 기준 재고자산은 165조4천432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작년 말(121조4천922억원)보다 36.2%(43조9천510억원) 증가한 것이다.

또 이번 3분기 재고자산 규모는 리더스인덱스가 통계를 낸 2010년 이후 역대 최대 규모다.



특히 상품보다 제품과 반제품 재고 증가세가 가팔랐는데, 이는 수출이 줄어드는 것을 방증한다고 리더스인덱스는 설명했다.

상품은 기업이 수입 등을 통해 다른 회사로부터 구매해서 가지고 있는 물품을 말한다. 제품은 기업이 생산한 완성품, 반제품은 추가 가공이 필요한 중간생산품을 뜻한다.

상품 재고 규모는 작년 말 19조9천147억원에서 올해 3분기 말 25조3천334억원으로 27.2% 증가했으며, 같은 기간 제품 및 반제품 재고는 101조5천775억원에서 140조1천98억원으로 37.9% 증가했다.

업종별로는 IT·전기전자 업종의 재고가 가장 많이 늘었다.

IT·전기전자 업종 19개 사의 재고는 작년 말 40조3천613억원에서 올해 3분기 말 58조4천188억원으로 18조575억원(44.7%) 증가했다.

국내 대표 반도체 기업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3분기 말 재고는 각각 36조7천204억원, 3조4천244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각각 작년 말보다 42.6%, 174.7% 증가한 것이다.

석유화학 업종 25개 기업의 재고는 작년 말 20조4천330억원에서 3분기 말 29조7천127억원으로 9조2천797억원(45.4%) 증가했다.

3분기 말 재고 자산 규모는 LG화학 7조5천938억원, SK이노베이션 6조574억원을 기록했다.

자동차 업종 26개 기업의 재고는 작년 말 18조1천534억원에서 3분기 말 22조4천261억원으로 4조2천727억원(23.5%) 증가했다.

현대차의 재고 규모는 6조7천579억원에서 8조4천69억원으로 24.4% 증가했으며 기아차는 5조668억원에서 5조8천387억원으로 15.2% 증가했다.

한국타이어테크놀로지(45.3%), 넥센타이어(44.5%), 금호타이어(41.4%) 등 타이어 3사의 작년 말 대비 재고 자산 증가율은 40%를 넘어섰다.

또 작년 말 대비 재고 증가율이 가장 높은 기업은 포스코에너지(287.5%)였다. 이어 덕양산업(271.5%), 삼성바이오로직스(245.2%), SK하이닉스(174.7%) 등의 순이었다.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