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불확실, 기업들 채용 소극적"
정부, 이달 중 '일자리 창출 정책 계획' 발표
올해 취업자수 증가 규모가 지난해의 8분의 1 수준으로 떨어질 것이라는 정부 예측이 나왔습니다.
취업난을 겪고 있는 2030세대뿐 아니라 희망 퇴직 대상이 된 4050세대까지 고용 한파로 살얼음판을 걸을 전망입니다.
이민재 기자입니다.
<기자>
10만명.
올해 취업자 예상 증가 폭입니다.
지난해 대비 8분의 1 수준에 불과합니다.
코로나19로 취업자가 줄어든 지난 2020년과 비교하면 높지만,
팬데믹이라는 특수한 상황을 고려하면 세계 금융 위기 여파로 취업자가 줄어든 2008년 이후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던 2018년과 비슷합니다.
코로나19 이전 10년간 평균 증가 폭인 34만 3천명과 비교해도 3분의 1 수준입니다.
경기에 민감한 유통 기업들이 먼저 고용에 대한 의지가 없음을 내비치고 있는 가운데,
공공기관도 1만2천명 구조조정과 동시에 신규 채용 문턱을 높일 것을 예고했습니다.
정부는 체험형 인턴을 늘리는 등 대안을 마련하겠다고 했지만 취업 시장에 온기를 불어 넣기는 역부족일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됩니다.
[ 정흥준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 불확실성이 높아지니까 기업들이 인력 채용에 대해 소극적인 부분이 있습니다. (자동화 등으로) 인력 자체에 대한 의존도를 줄여가는 것도 이유라고 봅니다. ]
고용 바늘구멍은 MZ세대인 2030세대에만 국한된 것은 아닙니다.
고용률은 60%대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실제 고용 시장은 춥기만 합니다.
실제로 신한은행, KB국민은행 등 은행업계에서 퇴직이 줄을 잇고 있습니다.
하나은행은 1982년생까지 희망퇴직 대상을 넓혀 40대까지 퇴직 불안에 떨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본격적인 경기 침체 시기에 접어들은 데다, 갈수록 심해지는 고령화 현상을 볼 때 올해 보다 내년에 고용 한파가 더 거셀 수 있다며,
구인, 구직 간 인식 차를 줄이기 위한 교육 훈련 등이 절실하다고 강조합니다.
정부는 이달 중 `일자리 창출 고용 정책 기본 계획`을 발표하는 등 지원에 나설 계획이지만,
실효성 있는 대안이 마련되기 전까지는 취업난을 겪고 있는 2030세대뿐 아니라 4050세대까지 퇴직난으로 살얼음판을 걸을 전망입니다.
한국경제TV 이민재입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