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wowtv.co.kr/wowtv_news/dnrs/20230125/B20230125152558893.jpg)
외상 등으로 얼굴 뼈 재건이 필요한 경우, 재건 후 합병증·자가골 채취시 범위 제한 등의 어려움이 있었지만 이제는 없어질 전망이다. 3D 프린터의 발전 덕택이다.
최근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박호진 교수팀이 3D프린터를 활용한 얼굴 인공 뼈 이식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얼굴 뼈로 인식되는 안면골과 두개골은 기능적, 외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안면골은 얼굴의 모양을 결정하고, 음식을 씹거나, 숨을 쉴 때도 필요하다. 두개골은 뇌를 보호하고 이마와 뒤통수 모양을 결정짓는다.
그러나 안면골과 두개골은 교통사고, 낙상 등 외상으로 손상되기도 한다. 암이나 염증 치료를 위해 부득이하게 절제하는 경우도 있다. 훼손된 안면골과 두개골은 기능적, 미용상 목적으로 재건이 필요하다.
기존에는 티타늄 금속판이나 환자의 엉덩뼈, 종아리뼈, 정상 두개골에서 자가골을 채취해 재건했다. 그러나 티타늄 금속판은 몸에서 이물질로 인식해 염증을 일으키는 등 합병증 위험이 있으며, 자가골은 채취한 부위에 또 다른 결손이 생기기 때문에 광범위한 사용은 어려웠다. 뿐만 아니라 안면골과 두개골은 사람마다 모양이 달라, 그동안의 기술로는 결손 부위 재건에 한계가 있었다.
3D프린터를 활용한 재건은 환자의 결손 부위 파악 이후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결손이 생기기 전 안면골·두개골 모양을 가상으로 만들어 낸다. 최대한 원래 얼굴 모양과 가깝게 인공 뼈를 디자인하고 3D프린터로 프린팅하며, 사용되는 재료 역시 환자 맞춤형으로 선택된다. 제조된 환자맞춤형 인공 뼈는 광범위한 부위도 적용 가능하며 안구함몰, 안면 비대칭, 안면골 저형성증, 두개골 비대칭, 두개골 함몰, 두개골 결손 등의 질환 치료제 사용할 수 있다.
박호진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성형외과 교수는 “환자맞춤형 인공뼈를 이용한 재건은 시뮬레이션과 인공뼈의 제조에 많은 경험이 요구되는 첨단 기술로 안면골 및 두개골의 이상적인 재건이 가능하다”며 “다만, 수술 후 부작용 최소화를 위해 수술 전 적절한 검사가 시행되어야 하며 경험이 많은 의료진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