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등 주력산업 경기가 나빠지면서 제조업 체감 경기가 2년 7개월 만에 최악 수준으로 악화됐다.
다만 실내 마스크 해제 조치 등으로 비제조업은 개선돼 2월 전체 산업의 체감경기는 전달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한국은행이 22일 발표한 `2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달 제조업 업황 BSI는 전월보다 3포인트 하락한 63을 기록했다.
이는 2020년 7월(59) 이후 2년 7개월 만에 최저치다.
BSI는 현재 경영상황에 대한 기업가의 판단과 전망을 바탕으로 산출된 통계로, 부정적 응답이 긍정적 응답보다 많으면 지수가 100을 밑돈다.
제조업 세부 업종 중에선 반도체 수요 감소 영향으로 전자·영상·통신장비와 기타 기계장비가 10포인트씩 하락하며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또한 원자재 가격 상승, 건설·자동차·선박 등 전방산업 업황 둔화로 1차 금속 부문도 5포인트 내렸다.
제조업 규모별로는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각각 4포인트, 1포인트 하락했고 수출기업(-5포인트)의 체감 경기가 내수기업(-1포인트)보다 더 나빠졌다.
반면 비제조업은 실내마스크 해제에 따른 소비심리 개선 등의 영향으로 도소매업이 5포인트 상승했고 해외여행 수요 증가로 인해 항공운송 매출액이 늘면서 운수창고업이 6포인트 올라 업황이 개선됐다.
제조업과 비제조업을 종합한 모든 산업의 업황 BSI는 69로, 지난 1월과 같았다.
다만 1월과 2월 업황 BSI는 2020년 9월 64를 기록한 이후 2년 5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업황 BSI는 지난해 8월 81을 기록한 이후 9월(78), 10월(76), 11월(75), 12월(74), 1월(69)까지 하락한 바 있다.
다음달 업황에 대한 전망 BSI 지수는 71로 전달보다 3포인트 상승했다. 제조업(66)에서 1포인트, 비제조업(74)에서 4포인트 높아졌다.
채희준 한은 통계조사팀 과장은 "제조업 중 주력산업 품목인 반도체나 1차 금속은 전방산업인 가전제품, 자동차 수요의 영향을 받는데 아직은 수요가 확실히 살아난다는 움직임이 없어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다"며 "(향후에도 제조업과 비제조업 업황이) 상이한 흐름을 보일 가능성은 남아있다"고 말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