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위스키 수입액이 급증해 15년 만의 최대치를 기록했다.
관세청 무역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스카치·버번·라이 등 위스키류 수입액은 2억6천684만달러로 전년보다 52.2% 늘었다.
이는 지난 2007년(2억7천29만달러) 이후 15년 만에 최대치다.
위스키 수입액은 2007년 정점을 찍은 이후 줄곧 하향 곡선을 그렸다.
지난 2014년 주5일제 시행을 시작으로 2018년 주 52시간제, 2016년 부정청탁금지법(김영란법) 시행 등으로 회식·모임이 점차 줄어든 영향이다.
또 소위 `폭탄주` 등 독한 술을 자제하는 음주 분위기가 형성된 것도 요인으로 꼽힌다.
코로나를 계기로 위스키 수입액은 2019년 1억5천393만달러에서 코로나 첫해인 2020년 1억3천246만달러로 줄었다가 2021년 1억7천534만달러로 증가한 데 이어 지난해 2억6천684만달러로 52.2% 급증했다.
코로나 첫해에는 사회적 거리두기로 유흥 시장이 위축됐지만 점차 홈술·혼술 문화가 자리 잡고 고가의 위스키를 접해보는 젊은 층이 늘며 관심이 커졌다.
특히 MZ세대(1980~2000년대 출생 세대) 사이에서는 위스키에 음료를 타서 마시는 `하이볼`이 큰 인기를 끌었다.
지난해 맥주 수입액은 1억9천510만달러로 전년보다 12.5% 줄었다.
이로써 2019년부터 4년째 감소세를 이어갔다.
맥주 수입액이 매년 꾸준히 늘었고 2018년 처음으로 3억달러도 돌파했지만 이후에는 감소세로 돌아섰다.
2019년 일본이 한국에 대한 수출 규제 조치를 단행하며 국내에서 일본 맥주 불매 운동이 벌어져 전체 맥주 수입액이 줄었고 2020년에는 코로나가 영향도 받았다.
맥주 과세 체계가 2020년 종가세에서 종량세로 전환된 것도 하나의 요인으로 꼽힌다.
종량세는 양에 비례해 세금을 부과하고 종가세는 가격에 따라 세금을 부과하는 방식인데 상대적으로 저가로 수입되는 맥주의 경우 기존보다 세금이 늘어나 수입업체가 맥주를 수입할 매력이 줄게 된다.
(사진=연합뉴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