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wowtv.co.kr/wowtv_news/dnrs/20230414/B20230414152018157.jpg)
최근 승객들이 호흡곤란으로 쓰러졌던 김포도시철도(김포골드라인)가 과밀을 줄이기 위해 이른바 '커팅맨'을 배치하는 등 특별대책을 추진한다. 정부가 14일 '김포골드라인 혼잡 완화 긴급 대책회의'를 연 데 이어 서울시도 시민의 교통 편의와 안전을 강화할 대책을 내놓은 것이다.
우선 김포골드라인 역사 내 혼잡도를 관리할 수 있게 혼잡 시간대 탑승을 제한하는 역할을 하는 서울교통공사의 자체 인력을 이른 시일 내 배치한다. 이 인력은 또 역사 내 이동 동선 분리, 환승구간 안내 등의 업무를 맡는다. 커팅맨의 인원, 배치되는 역이나 승강장 위치 등은 공사의 인력과 각 역의 혼잡도 등을 고려해 추후 결정키로 했다.
김포골드라인의 승객을 분산하는 대체 수단인 버스 추가 투입도 적극적으로 추진한다. 김포골드라인 대체 노선버스인 3000번(강화터미널∼신촌역)은 7회, M6117번(양곡터미널∼서울역)은 2회 늘려 운행하고, 한강신도시∼김포공항역 간 셔틀버스도 관계 기관과 협의해 운영할 방침이다. 버스의 정시성을 확보하기 위해 개화역∼김포공항 구간은 버스전용차로를 조속히 설치하기로 했다.
김병수 김포시장이 제안한 새로운 교통수단인 40인승 이상 수륙양용버스 도입도 대책의 하나로 검토 중이다. 수륙양용버스는 김포에서 출발해 한강공원 선착장까지 한강 위로 이동하고 한강공원부터 인근 지하철역까지는 도로를 이용해 환승 없이 운행할 수 있는 교통수단이다. 시는 관련 법 제도와 기반 시설 검토 등을 거쳐 최적의 노선을 선정하고 최대한 이른 시일 내 구체적인 실행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다.
(사진=연합뉴스)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박근아 기자
twilight1093@wowtv.co.kr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