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금리와 경기 침체로 위축됐던 상업용 부동산 시장이 반등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
'꼬마빌딩'이라 불리는 소형 빌딩 위주로 거래가 살아나며 바닥은 지났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먼저 방서후 기자가 달라진 시장 분위기를 살펴봤습니다.
<기자>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사람들의 발길이 끊겼던 서울 명동 거리.
아직도 '임대' 표지를 내건 빈 건물이 많지만 최근 하나 둘 주인을 찾고 있습니다.
코로나 종식과 외국인 관광객 유입 등으로 유동인구가 늘면서 급매물 위주로 거래가 성사되고 있는 겁니다.
실제로 올해 1분기 명동 상권의 공실률은 전분기 대비 17.4%포인트 내리며 뚜렷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지역에 따라서는 높은 가격에 손바뀜이 일어나기도 합니다.
강남의 한 빌딩.
3년 전 94억원이던 이 건물은 최근 170억원에 팔렸습니다.
각종 세금을 제외하더라도 시세 차익만 60억원 가까이 얻은 셈입니다.
이렇게 서울 각지에서 거래가 살아나며 지난 3월 기준 서울 상업·업무용 빌딩 거래량은 104건으로 두 달 연속 증가했습니다.
같은 기간 빌딩 매매금액은 8,393억원으로 전달 대비 62% 늘었는데, 거래량이 늘어도 거래금액은 감소했던 2월과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5층 이하 꼬마빌딩 거래 비중이 70%를 넘기며 거래량을 끌어올렸습니다.
다만 전문가들은 시장이 최악의 상황을 지나온 것은 맞지만 되는 곳만 되는 양극화 현상은 당분간 지속될 수 있다며 신중한 투자를 권했습니다.
한국경제TV 방서후입니다.
<앵커>
이어서 전문가 모시고 자세한 이야기 나눠봅니다.
김성순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코리아 리테일본부 전무 자리했습니다.
앞서 리포트 보신 것처럼 꼬마빌딩을 중심으로 상업용 부동산 투자 수요가 어느 정도 회복된 분위기입니다.
정말 바닥을 찍었다고 볼 수 있나요?
<앵커>
아파트 분양시장의 경우 서울이나 개발호재가 있는 수도권 정도만 청약자가 몰리고 그 외 지역은 미분양이 속출하는,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는데요.
상업용 부동산 시장에서도 비슷한 현상이 나타나는지 궁금합니다.
<앵커>
말씀을 들을 수록 핵심 상권, 그 중에서도 핵심 입지가 중요해보이는데요.
어느 지역을 제일 유망하다고 보시나요?
<앵커>
서울이 유독 다른 나라에 비해 상권별 특징이 강하다고 들었습니다.
설명 좀 부탁드립니다.
<앵커>
아무리 붐비는 상권이라 해도 자세히 들여다보면 분명 그 안에서도 희비가 엇갈린단 말이죠?
단순히 어디에 투자하는 것을 넘어 어느 임차인을 들여야 하는지도 중요해 보입니다.
<앵커>
상가와 건물이 다르고, 상가 중에서도 대형 상가와 소형 점포가 다르잖아요?
투자 규모 별로 접근 방식도 다를 것 같은데요.
<앵커>
한때 투자 열풍이 불었던 아파트 단지내 상가는 어떻습니까?
이번 정부가 주택 공급 250만호 공약을 내건 만큼 수혜가 따를 것 같은데요.
<앵커>
사실상 코로나19 엔데믹이 선언됐습니다.
물론 사람들은 그 전부터 거리에 나오긴 했습니다만 격리와 마스크 착용 의무를 공식적으로 풀어준 건 확실히 크게 다가옵니다.
상업용 부동산 시장에도 변화가 예상되는데, 어떻게 보십니까?
<앵커>
잘 들었습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