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정부와 기업들은 첨예한 미중 갈들의 불똥이 어디로 튈까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
좁혀진 반도체 분야 기술격차를 더 벌릴 수 있다는 시각도 있지만 일단 시장 자체가 위축될 거란 우려입니다.
이어서 정재홍 기자입니다.
<기자> 우리 정부는 이번 미국의 중국 투자제한 조치가 국내에 미칠 영향이 제한적일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앞으로 이뤄질 신규 투자에 적용되는데다 적용 범위가 미국인과 미국법인으로 한정되기 때문입니다.
다만 중국의 보복 조치가 어떤식으로 확대될지 모른다는 우려에 우리 기업들은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
중국에 메모리 반도체 공장을 가동 중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지난해 10월 미국의 중국에 대한 반도체 장비 수출 통제로 한바탕 홍역을 치뤘습니다.
미국이 1년간 조치를 유예하면서 한시름 놓았지만 재연장 확답을 받아야 하는데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앞서 중국은 미국 제재에 반발해 마이크론 제품 구매 중지를 발표하는 한편, 차세대 반도체 원료로 꼽히는 갈륨과 게르마늄에 대한 수출 통제령까지 발효한 상태입니다.
전문가들은 갈수록 첨예해지는 미중 갈등으로 첨단반도체 시장 자체가 위축될 수 있다고 지적합니다.
[박재근 / 한양대 융합전자공학부 석학교수: 시장 측면에서는 (차세대 반도체라는) 새로운 시장에서 대중국 제재로 우리 기회가 줄어들겠죠. 그런면에서는 우리 기업에게 좋은 시그널은 아닌 게 사실입니다.]
다만 5년 이내로 좁혀진 중국과의 반도체 기술격차를 다시 벌릴 기회가 될 수 있다는 시각도 있습니다.
중국 정부는 미국의 이번 투자제한에 "우리의 권익을 확고하게 보호할 것"이라며 강경 대응을 예고했습니다.
한국경제TV 정재홍입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