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증 목적과 참여주체 등 살펴야"
최근 상장기업 주주들의 마음을 들썩이게 만드는 네 글자가 있습니다. 바로 '유상증자'입니다.
일반적으로 유상증자는 악재로 분류되지만, 유상증자 이후 오히려 주가가 상승한 사례도 적지 않은데요.
무슨 차이가 주주들의 행보를 엇갈리게 했을까요? 정호진 기자가 알아봤습니다.
<기자>
CJ CGV부터 SK이노베이션, 루닛까지. 최근 국내 기업들의 유상증자 소식에 해당 기업들의 주가는 들썩이고 있습니다.
'유상증자'란 신규자금을 받고 주식을 새로 발행해 자본금을 늘리는 것으로, 기업이 여러 목적으로 자금이 필요한 경우 사용됩니다.
유상증자 이외에 신규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기업들은 금융회사로부터 돈을 빌리거나 채권을 발행하고, 자산을 팔기도 합니다.
시장금리 상승으로 차입부담이 커지고 자산매각에는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올해 들어 유상증자를 결정한 기업은 꾸준히 늘어나고 있습니다.
하지만 지분 희석과 증자대금의 불확실한 사용계획으로 유상증자는 그동안 '주주들에게 손만 벌린다'라는 비판과 함께 주가에도 악재였습니다.
[심혜섭 / 변호사 : 우리나라 같은 경우는 유상증자를 하고 돈을 벌면 주주환원을 해야 하는데 안 하잖아요. 유상증자할 때에는 (주주들에게) 손은 벌리고, 나중에 혜택은 없는 게 제일 문제죠.]
반면 유상증자 발표가 오히려 주가에 호재로 작용한 경우도 적지 않습니다.
새로 발행하는 주식은 가격을 시장가보다 낮게 책정하거나, 대주주의 적극적인 참여여부, 그동안 보여준 경영성과가 양호할 경우에는 주가상승의 신호탄 역할도 해왔습니다.
대주주와 경영진에 대한 신뢰만 만들어진다면 소액주주들이 반대할 이유도 애당초 없기 때문입니다.
[서지용 / 상명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 (신규 투자에 대한) 기대감, 또 시장에서 해당 기업에 대한 신인도를 판단하는 데에 근거자료가 돼서 주가가 오르는 요인이 되기도 합니다.]
뛰어난 경영성과와 이에 뒤따르는 기업가치 상승, 소액주주와 위험을 공유하는 대주주의 존재 여부가 유상증자의 성패를 가르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정호진입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