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오늘도 국제유가 상승에 따른 인플레 재발 우려가 이어져 미 3대 지수가 일제히 하락세를 보였죠?
- 국제유가, 올해 하반기 앞두고 ‘재상승세’
- 6월 27일 9월 6일
67.7달러 87.1달러
- 3개월 만에 30 급등…심상치 않은 유가
- 유가, 사우디와 미국 요인으로 안정되기 힘들 듯
- 사우디와 러시아, 재건과 전쟁으로 고유가 선호
- 미국, 대선 앞두고 주요 정유사와의 협조 난항 예상
- ‘인플레 재발 우려’ 9월 위기설?…과잉된 해석
- 8월 실업률 따른 연착륙 기대 완화하는 선에 그쳐
Q. 엔·달러 환율이 150엔선에 근접하자 국제 환투기 세력과 일본 외환당국 간의 갈등이 심화되는 양상인데 그 상황부터 말씀해 주시지요.
- 엔·달러 환율, 작년 10월 이어 150엔 육박
- 환투기 세력, 1990년대 후반 이후 엔화 타깃
- 1990년대 역플라자 협정, 엔화 약세에 베팅
- 환투기 세력, 위안화 이어 엔화 약세에 베팅
- 엔·달러 환율, 작년 10월 이어 150엔 육박
- 와타나베 부인 가세, 포지티브 캐리 트레이딩
- 美·日 기준금리 차 5.6p+엔화 155엔 전망
- 日에서 엔화 자금 조달, 美에 투자시 대박
- 日 외환당국, 추가 엔저 방어 위해 구두개입
Q. 일본 외환당국이 뒤늦게 엔저 방어에 나서고 있습니다만 지금의 상황은 우에다 총재가 국제 환투기 세력에게 먹잇감을 제공한 측면이 많지 않습니까?
- 우에다, 잭슨홀 미팅에서 파월보다 더 화제
- 日 물가, 인플레 목표치 2 하회 여전
- CPI 3대 초반까지 상승, 무슨 근거로?
- 우에다 발언 이후, 본격적인 ‘엔화 약세’ 시작
- 국제외환시장, 엔·달러 환율 147엔대에 다시 근접
- 환투기 세력과 와타나베 부인, 추가 엔저 베팅
- 日銀 총재와 외환당국 ‘엇박자’…대장성 입장은?
Q. 방금 대장성의 입장이 중요하다고 말씀하셨는데요. 2차 대전 이후 일본 경제정책을 주도해온 대장성 패러다임은 무엇인지 말씀해 주시죠.
- 日 경제, 2차 대전 이후 자민당 주도 ‘압축성장’
- 1990년대 이후, ‘대장성 vs. 미에노’ 패러다임 충돌
- 전자 ‘엔저와 수출 진흥’ · 후자 ‘인플레 안정’
- 자민당, 미에노의 비타협적 통화정책에 강한 불만
- 日 경제, 2차 대전 이후 자민당 주도 ‘압축성장’
- 자민당, 미에노의 비타협적 통화정책에 강한 불만
- 2012년 아베 재집권, 2013년 구로다 하루히코 영입
- 우에다, 미에노 패러다임으로 복귀하는 것 아냐?
- 우에다, ‘미에노’보다 ‘대장성’ 패러다임 선호?
Q. 일본도 통화정책을 비롯한 경제정책에 변화를 주기에는 상당히 힘들 것으로 보이는데요. 그 배경들도 짚어주시죠.
- 日 경제, 겉은 따뜻하고 속은 차가운 ‘타다끼’
- 2분기 성장률, 당초 예상보다 2배 높은 1.5
- CPI 상승률 3대, 日 국민 체감경기는 악화
- 日 경제, 겉은 따뜻하고 속은 차가운 ‘타다끼’
- 지표경기와 체감경기, 어느 것을 중시하느냐?
- 지표경기, 경기부양 위해 대장성 패러다임 고수
- 체감경기, 물가안정 위해 미에노 패러다임 선회
- ‘frame’ vs ‘framing effect’, 어느 것을 우선?
Q. 정책당국자 간 갈등이 있는 상황에서 과연 일본이 엔저 방어에 성공할 수 있느냐도 관심이 되고 있죠?
- 정책당국자 간 갈등, 통화 방어 ‘최대의 적’
- 파운드화 위기·원화 위기 등이 대표적인 사례
- 머큐리와 마스, 엔화 강세 될만한 요인 無
- 머큐리, 올해 성장률 美가 日보다 1p 높아
- 마스, 연준이 일은보다 ‘매파적 기조’ 유지할 듯
- 정책당국자 간 갈등, 통화 방어 ‘최대의 적’
- 머큐리와 마스, 엔화 강세 될만한 요인 無
- 골드만삭스, 엔·달러 환율 155엔선까지 상승
- 글로벌 IB, 엔·달러 환율 전망치 속속 상향 조정
Q. 골드만삭스 전망치에 무게가 실리는 것은 최근 달러 가치가 재상승하면서 지난 3월에 발표했던 ‘달러 임페리얼 서클’ 보고서가 뒤늦게 관심이 되고 있지 않습니까?
- 달러 가치, 올해 하반기 들어 완만하게 상승
- 달러인덱스, 7월 17일 99대→104대 ‘재상승’
- 뉴욕 연은, The Dollar’s Imperial Circle
- 뉴욕 연은, The Dollar’s Imperial Circle
- 연준, 인플레 안정 위해 긴축→달러 강세
- 세계 제조업과 교역 감소
- 신흥국 위기→美 블랙홀
- 美 달러 중심의 브레튼우즈 국제통화체제 강화
- 脫달러화 각국, 달러 인페리얼 서클 형성 주목
Q. 이미 많은 손실이 나고 있는 엔화 투자자들의 앞날이 걱정이 되는데요. 여전히 엔화 투자에 대해서는 관심이 높지 않습니까?
- 한은, 매월 말 거주자 외화예금 잔액 발표
- 7월 말 기준, 외화예금 잔고 약 1070억 달러
- 달러 878억 달러·엔 83억 달러·유로 60억 달러
- 엔화, 유로화 예금잔고 제치고 2위 ‘사재기 결과’
- 골드만삭스 전망 155엔 가정…엔 투자 명암
- 현재 원·달러 환율 기준, 원·엔 환율 850원 내외
- 내년 전망치 1250원 기준, 800원선 붕괴 가능
- ‘엔화 투자’와 ‘엔화로 美 국채투자’ 신중해야
지금까지 도움 말씀에 한국경제신문, 한상춘 논설위원이었습니다.
한국경제TV 제작1부 정연국 PD
ykjeong@wowtv.co.kr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