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가성비 못참지"…韓 잠식하는 '중국 직구'

입력 2023-11-05 07:18  


국내 직구(직접구매) 시장에서 초저가 상품을 앞세운 중국 업체들이 가파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5일 관세청에 따르면 올해 1∼3분기 해외직구액은 4조7천928억2천600만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3조9천800억2천400만원) 대비 20.4% 증가했다.

국가별로 보면 중국이 2조2천217억원(46.4%)으로 절반 가까이 차지하고 미국이 1조3천928억7천900만원(29.1%)으로 뒤를 이었다. 이어 유럽연합(EU)과 영국 6천504억7천300만원(13.6%), 일본 3천449억7천400만원(7.2%), 아세안(ASEAN) 555억8천만원(1.2%), 캐나다 406억9천300만원(0.8%) 등으로 집계됐다.

올해 1∼3분기 중국발 직구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무려 106% 증가했다. 아직 4분기가 남아있지만, 현재와 같은 추세라면 올해 중국이 사상 처음으로 미국을 밀어내고 우리나라 직구 시장 1위에 올라설 것으로 예상된다.

10년 전인 2014년 연간 기준으로 미국발 직구액(1조1천979억3천200만원)이 중국(2천257억8천100만원)의 5배에 달하던 것과 비교하면 시장 판도가 완전히 바뀐 셈이다.

이런 중국의 질주는 알리익스프레스와 같은 이커머스 업체의 고속 성장과 맞물린다. 2018년 한국 이커머스 시장에 진출한 알리익스프레스는 올해 들어 '극강의 가격경쟁력'을 앞세워 시장을 빠르게 잠식하고 있다.

앱·리테일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리테일·굿즈에 따르면 올해 9월 기준 알리익스프레스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국내 사용자 수는 545만명으로 2020년 9월(152만명) 대비 3.6배로 급증했다. 지난해 9월(274만명)과 비교해 2배로 증가했다.

쿠팡(2천862만명), 11번가(846만명), G마켓(636만명)에 이은 4위권으로, '빅3'을 넘보고 있다.

최근에는 중국의 또 다른 온라인 쇼핑몰 '테무'(Temu)가 한국 시장에 상륙해 빠른 속도로 입지를 넓혀가고 있다. 테무 앱 이용자 수도 지난 8월 52만명에서 9월에는 170만명으로 한 달 만에 3배로 늘었다.

이커머스업계 한 관계자는 "고물가 현상이 장기화하며 국내 소비자들의 가격 민감도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어 초저가 상품을 앞세운 중국 이커머스 업체들이 한동안 주목받을 것"이라며 "덩달아 중국발 직구의 성장세도 지속할 전망"이라고 말했다.

(사진=연합뉴스)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이휘경  기자

 ddehg@wowtv.co.kr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