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ELS 충격에 반사이익…'우르르' 몰렸다

입력 2023-12-03 19:33   수정 2023-12-03 20:12



홍콩 H지수(HSCEI) 주가연계증권(ELS) 발행량이 올해 급감한 반면 33년 만에 연일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는 일본 닛케이225 평균주가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ELS 발행 규모는 늘었다.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달 홍콩 H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편입한 ELS는 4천23억원 규모로 발행돼 9월(5천137억원), 10월(4천654억원)에 이어 석 달 연속 감소세다.

ELS는 기초자산인 주가지수나 개별 종목 가격 흐름이 사전에 정해놓은 조건을 충족했는지 여부에 따라 수익률을 결정하는 유가증권으로, 보통 홍콩 H지수와 미국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유로스톡스50, 코스피200 등이 지수형 ELS의 기초자산으로 많이 활용 중이다.

홍콩 H지수는 홍콩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중국 본토 기업 50개로 산출하는 지수로, 중국 관련 리스크가 불거지면 급락하는 경향이다.

홍콩 H지수 연계 ELS 월별 발행 금액은 작년 10월 2천966억원에서 같은 해 11월 902억원, 12월 654억원으로 매달 30% 넘게 감소한 뒤 올해 4월까지 8천301억원까지 늘어났으나 다시 4천억원대로 떨어지며 감소세가 계속되고 있다.

반면 일본 도쿄 증시의 대표 지수인 닛케이 지수 연계 ELS는 작년 연말을 기점으로 홍콩 H지수 연계 ELS와 발행 금액이 역전되더니 지난달에는 홍콩 H지수 ELS의 3.5배에 달하는 1조3천952억원어치나 발행됐다.

홍콩 H지수 ELS 발행액이 가장 많았던 2021년 4월에는 홍콩 H지수 ELS가 닛케이 지수 ELS보다 발행량이 3.3배 많았지만, 약 3년 만에 두 ELS 발행 규모가 완전히 역전됐다.

특히 홍콩 H지수 ELS 발행 규모가 최저치로 떨어졌던 지난해 11월부터 두 기초자산 ELS 발행 규모 차이는 점점 벌어지는 상황.

닛케이 지수 ELS는 발행 규모가 꾸준히 늘어나는 추세다. 지난해 11월(2천75억원)과 비교하면 6.7배로 증가했고, 올해 1월(5천418억원)에 비해서도 2.6배로 늘었다.

이는 일본 증시가 거품경제 시기인 1990년 8월 이후 올해 연일 최고치를 경신하자 닛케이 지수와 연계된 ELS에 투자하려는 움직임이 늘어난 영향으로 분석된다.


(사진=연합뉴스)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이영호  기자

 hoya@wowtv.co.kr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