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부동산 경기 침체의 영향으로 가구 평균 자산이 2천만원 넘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과 통계청, 금융감독원이 7일 발표한 ‘2023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3월 말 기준 국내 가구당 평균 자산은 5억 2,727만원으로 1년 전보다 3.7% 감소했다.
가계 자산이 감소세로 돌아선 것은 2012년 통계 작성 후 11년 만에 처음이다.
거주 주택 자산이 10% 줄면서 전체 자산 보유액이 축소됐고, 주택 가격 전망이 나빠지면서 부동산 투자 의사가 있는 가구주 비율도 줄었단 설명이다.
가구당 평균 부채는 9,186만원으로 전년보다 0.2% 증가했다. 고금리 장기화로 부채도 통계 작성 후 가장 낮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3월 말 기준 국내 가구당 평균 자산은 1년 전보다 2,045만원(3.7%) 감소한 5억 2,727만원으로 집계됐다.
자산에서 부채를 뺀 순자산은 4억 3,540만원으로 전년보다 4.5% 줄었다.
가구의 자산 보유액 감소는 집값 하락 영향이 컸다.
금융자산은 1억 2,587만원으로 3.8% 증가했지만, 실물자산은 4억 140만원으로 5.9% 감소했다. 특히 부동산 중 거주 주택이 10.0% 감소했다.
통계청은 “통계 작성 후 처음으로 자산이 감소했다”며 “2021~2022년 높은 자산 증가율에 따른 기저요인을 감안할 필요가 있다”고 봤다.
전체 자산 중 금융자산이 23.9%, 실물자산이 76.1%를 차지해 금융자산 구성비가 전년보다 1.7%p 늘어났다.
평균 자산은 50대 가구가 6억 452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40대(5억 6,122만원), 60대 이상(5억 4,836만원), 39세 이하(3억 3,615만원) 등의 순이었다. 가구주 연령대가 높을수록 전체 자산 중 실물자산이 차지하는 비율이 증가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