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지난 11월에 연기된 임시예산안 2차 시한이 다가오고 있는데요. 아직까지 2024 회계연도 예산안이 처리되지 못하고 있죠?
- 2차 임시예산안 시한, 이달 19일부로 종료
- 2024년도 예산안 미처리, 20일부터 셧다운?
- 아이오와 코커스로 시작된 대선과 맞물려
- 임시예산안 3번째로 연기된 경우 ‘전례 無’
- 전미경제학회, 재정 지출 대한 ‘부정적 의견’
- 심즈 교수 “재정 지출 증가할 때 인플레 재발”
- 재정준칙, GDP 대비 재정 적자 3 이내 관리
- 재닛 옐런, 美 경제 연착륙되는 것으로 평가
Q. 갑진년 새해부터 토마 피케티와 앵거스 디턴 간의 논쟁이 재현되고 있다고 하는데요. 먼저 그 유명한 두 학자의 주장부터 알고 가지요.
- 경제학이 추구하는 2가지 대원칙
- 1. 효율성(성장) + 2. 공정성(분배)
- 선순환 관계, 시장경제에 맡기는 것이 최선책
- 악순환 관계, 정부가 개입 ‘코즈의 정리’ 모색
- 2가지 대원칙 두고 ‘피케티 vs. 디턴’ 논쟁 재현
- 피케티 “성장하면 할수록 분배가 악화된다” 주장
- 디턴 “성장과 분배 같이 갈 수 있는 문제”라고 반박
Q. 피케티의 주장은 대단히 인기를 끌었는데요. 특히 정치권에서 각종 포퓰리즘 정책이 남발하는 근거가 됐죠?
- 코로나 발생 직전, 피케티 주장에 힘 실려
- 금융이 실물을 주도하고 디지털화 진전
- 경제 성장과 관계없이 소득 불균형 심화
- 경제와 ‘1인=1표’ 지향하는 민주주의 불일치
- 피케티 주장 근거로 각종 포퓰리즘 정책 남발
- 대기업과 고소득층에게 로봇세·초부유세 도입
- 중소기업과 저소득층에 각종 지원의 참고지표
- 횡재세 도입과 “빚내서 더 쓰자”는 주장 등장
Q. 한동안 잊혀졌던 두 학자 간의 논쟁이 갑진년 새해부터 재현되는 특별한 배경이라도 있습니까?
- 디턴의 주장에 힘이 실릴 수 있는 통계 나와
- NBER, 2019년~2022년까지 계층별 소득증가율
- 하위 10는 9 증가·상위 10는 4.9 증가
- 2022년 韓 지니계수 0.39…2016년 이후 처음 0.4 붕괴
- 지니계수의 하락, 소득 불균형 개선 의미
- 다른 국가, 소득 불균형이 개선된다는 통계 발표
- 세전소득 기준, 정치권 노력 때문 반박 사전 차단
Q. 그렇다면 더 궁금해지는데요. 코로나 사태를 계기로 어떤 변화가 있었길래 피케티 주장이 무색하게 된 걸까요?
- 이코노미스트, 저소득층(블루칼라) 역습 시대 전개
- 루이스 전환점, 저개발국 노동력 공급 더는 안돼
- 주요국 자체 노동시장, 저소득층의 수요가 급증
- 디지털화 진전과 고도화가 함께 이뤄지고 있어
- 코로나 직전, 블루칼라 대신할 수 있는 방향 초점
- 그 이후 AI 등이 급진전…화이트칼라가 주축출 대상
- 앞으로 ‘일시적’ 아니라 ‘추세적’으로 정착될 듯
Q. 저소득층의 역습은 성장과 고용 간의 정형화된 사실도 깨고 있지 않습니까? 어떤 현상이 나오고 있는지 말씀해 주시지요.
- 코로나 직전, 저소득층 내몰려 'jobless recovery'
- 최근에는 고용 풍부한 경기둔화, 'job full downturn'
- 韓, 성장률 1.3 속에 실업률은 2대 후반 지속
- 저성장 속 저실업률, 앞으로 지속될 확률 높아
- 주요국 인구절벽, 생산가능인구 급속히 줄어들어
- 디지털 고도화, 화이트칼라와 고소득층 대체 빨라
- 각국 중앙은행 책무, ‘통화 트릴레마’ 해결 여부
Q. 최근 들어 성장과 분배 간 역순환 관계라는 피케티의 주장을 전제로 했던 정책들도 빠르게 전환되고 있지 않습니까?
- 주요국 세제, 증세에서 ‘감세’로 이미 전환
- 법인세, 최저수준까지 낮춰 ‘리쇼어링’ 촉진
- 영국 ‘상속세’·일본 ‘소비세’ 폐지 움직임도
- 금융이 우위인 시대, 감세 정책 효과 의외로 커
- 소득대체효과, 경제의욕 제고→경기회복→세수증대
- 포트폴리오 효과, 증시 활황→부의 효과→세수증대
- 좌파에 물든 중남미, 핑크 타이드 물결 완전 와해
Q. 우리나라는 어떻습니까? 우리는 문재인 정부의 징벌적 세제로 경제 주체들의 세금 부담이 높지 않습니까?
- 文 정부의 징벌적 세제, 각종 세율 ‘세계 최고’
- ‘거대 야당’이라는 입법적 한계로 장기간 지속
- 저성장과 코리아 디스카운트로 주식시장 부진
- 現 정부, 대통령 시행령 통해 하나둘씩 정상화
- 대주주 양도세, 10억원에서 50억원으로 완화
- 금투세 폐지, 증시 부양과 저성장 극복에 도움
- 2가지 정책, 상승 효과…코스피 4000 시대 앞당겨
- 궁극적으로 세수 증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
지금까지 한국경제신문사의 한상춘 논설위원이었습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