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증원에 반대하는 전공의들의 집단사직으로 우려했던 의료공백 위기가 현실화하고 있다.
20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전일 23시 기준 주요 100개 수련병원의 55% 수준인 6,415명이 사직서를 제출했다. 사직서는 모두 수리되지 않았으나, 제출자의 25% 수준인 1,630명이 근무지에 나타나지 않았다. 복지부는 업무개시명령에 따른 인원을 제외하고, 현장에서 출근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한 758명(19일 22시 기준)에 대해 업무개시명령을 발령했다.
전공의 이탈로 의료 현장에선 수술과 진료 연기가 속출하고 있다. 세브란스병원은 전공의 집단사직에 앞서 수술 일정을 조절했고, 과별 상황에 맞춰 추가 조정하고 있다. 강남세브란스병원도 21일부터 수술 일정을 절반으로 줄일 예정이다. 서울아산병원, 서울성모병원, 삼성서울병원, 서울대병원 등 다른 병원도 환자의 중증도나 응급도를 고려해 입원과 수술 일정을 조절하고 있다.
환자들의 피해사례도 잇따르고 있다. 정부의 피해신고지원센터에 따르면 전일 18시 기준 접수된 피해 상담 사례는 총 34건이었으며 수술 취소는 25건, 진료 예약 취소는 4건, 진료 거절은 3건, 입원 지연은 2건으로 나타났다. 복지부에 따르면 신고 사례 중에는 1년 전부터 예약된 자녀의 수술을 위해 보호자가 휴직까지 했으나, 입원이 지연된 경우도 있다. 병원들은 전공의들의 빈 자리에 대체인력을 투입하면서 대응하고 있지만, 사태가 장기화할 경우 한계에 다다를 수밖에 없다고 보고 있다. 정통령 중앙사고수습본부 중앙비상진료상황실장은 "여러 병원 상황을 보면 대략 2~3주 정도는 기존 교수님들과 전임의, 입원전담전문의, 중환자실전담전문의 등 전공의를 제외한 인력으로 큰 차질 없이 유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20일 오전엔 전공의, 의대생에 이어 임상강사·전임의들의 입장문도 발표됐다. 전공의가 없는 상황에서는 교수와 임상강사·전임의가 업무를 담당하는데, 임상강사·전임의가 집단행동에 들어가면 의료공백의 심화는 불가피할 전망이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