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wowtv.co.kr/wowtv_news/dnrs/20240301/B20240301161353433.jpg)
국내 가자미 어획량 대부분을 책임지는 울산 항구 어민들의 시름이 깊다.
지난달 29일 오전 7시 울산 동구 방어동에 위치한 울산수협방어진위판장에서는 며칠 만에 잡힌 가자미가 경매에 올랐지만, 물량은 예년의 3분의 1 정도에 불과했다.
방어진 수협에 따르면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2월까지 잡힌 가자미 어획량은 951t으로 전년 같은 기간(1천455t)보다 30% 넘게 줄었다.
이날 경매장에서 만난 한 생선 도매상은 "최근 가자미 물량이 거의 없었다"며 "전국에 거래처가 있는데 요즘 가자미 가격이 많이 뛰어서 거래처 쪽에서도 힘들어한다"고 전했다.
어획량 자체가 줄다 보니 식당도 곤란을 겪는다. 남구에서 가자미 전문 식당을 운영하는 한 업주는 "오늘 가자미가 열흘 만에 처음 들어왔다"며 "최근에는 손님이 가자미 메뉴를 시키면 양해를 구하고 다른 생선을 섞어 내놓곤 했다. 또 언제 들어올지가 걱정"이라고 한숨을 쉬었다.
기상악화로 인한 조업일수가 감소하며 어획량이 줄었다고 업계에서는 진단한다. 최근 풍랑특보가 이어지면서 바다에 나갈 수 있는 날 자체가 줄었다는 것이다.
방어진수협 관계자는 "설 명절 이후 어선들이 바다에 나가 가자미를 잡아 온 횟수가 2∼3번밖에 안 된다"며 "전국 가자미 물량의 60~70%를 차지하는 방어진항 기상 상황이 안 좋다 보니 전반적인 가격 상승에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는 것"이라고 전했다.
지구온난화로 인한 고수온 현상도 문제다. 방어진수협 관계자는 "가자미는 원래 차가운 성질에서 자라는 생물인데, 최근 수온이 많이 오르다 보니 좀 더 찬 해류를 찾아가는 것 같다"고 말했다.
무분별한 포획으로 생물 자원이 고갈됐다는 지적도 나온다.
울산농수산물도매시장의 한 상인은 "작은 고기는 놔둬야 그게 커서 수자원이 되는데, 제대로 관리를 하지 않으니 바다에 생물이 씨가 마른 것"이라고 말했다.
정자항의 한 활어 판매상은 "가자미는 금어기가 없다 보니 가면 갈수록 줄지 않을까 싶다"며 "이런 추세가 이어지다 보면 우리 다음 세대들은 가자미 보기가 힘들 것"이라는 우려까지 내놓았다.
(사진=연합뉴스)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박근아 기자
twilight1093@wowtv.co.kr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