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wowtv.co.kr/wowtv_news/dnrs/20240325/B20240325153924580.jpg)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 동생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이 일본 기시다 후미오 총리로부터 정상회담 제의를 받았다고 25일 주장했다.
김 부부장은 이날 조선중앙통신에 공개한 담화에서 "최근에도 기시다 수상은 또 다른 경로를 통해 가능한 빠른 시기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무위원장을 직접 만나고 싶다는 의향을 우리에게 전해왔다"고 밝혔다.
그는 "중요한 것은 일본의 실제적인 정치적 결단"이라며 "단순히 수뇌회담에 나서려는 마음가짐만으로는 불신과 오해로 가득 찬 두 나라 관계를 풀 수 없다"고 지적했다.
또 "일본이 지금처럼 우리의 주권적 권리행사에 간섭하려 들고 더 이상 해결할 것도, 알 재간도 없는 납치 문제에 의연 골몰한다면 수상의 구상이 인기 끌기에 불과하다는 평판을 피할 수 없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일본이 북한을 "한사코 적대시하며 주권적 권리를 침해할 때에는 우리의 적으로 간주되여 과녁에 들어오게 되여있지 결코 벗으로는 될 수 없다"며 "자기가 원한다고 하여, 결심을 하였다고 하여 우리 국가의 지도부를 만날 수 있고 또 만나주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수상은 알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여정이 말한 '주권적 권리'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제재 결의로 금지된 핵무기 및 탄도미사일 개발을 뜻한다. 그간의 입장대로 불법 무기개발을 용인하고 납북자 문제를 거론하지 않아야만 북일정상회담이 가능하다는 의미다. 모두 일본이 받아들이기 어려운 조건들이다.
김 부부장은 지난달 15일에도 담화를 내 정당방위권에 관여하지 말고 납치문제를 장애물로 놓지 말아야 한다며 정상회담의 단서를 달았다. 비슷한 담화를 또 낸 것은 그만큼 북한도 북일정상회담에 대한 관심이 크다는 점을 보여주는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총장은 이번 담화가 일본의 입장을 계속 주시하는 북한의 태도를 보여준다면서 "(담화와 같은) 공개 압박 전략은 아직 실무 접촉에서 의미 있는 합의가 이뤄지지 못했다는 의미"라고 분석했다.
기시다 총리는 이날 김 부부장의 담화 발표 직후 관련 질문을 받고 "지적하신 보도에 대해 알지 못한다"면서도 "이전에 말했듯이 일본과 북한 관계, 납치 문제 등 여러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상회담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사진=연합뉴스)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박근아 기자
twilight1093@wowtv.co.kr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