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모닝 주식창

이번에는 10만전자? 실적 발표 주목 - [굿모닝 주식창]

입력 2024-04-03 09:13  


'다가오는 PCE 대응 전략과 미국 투자하기' 무료 방송
김종철 파트너, 평생 할인 모집
◎ 4월 3일 브리핑

▲오전장 전략
시장이 너무 어렵습니다. 미 증시가 다시 하락으로 마감되었는데 신재생에너지 그리고 중소형 종목과 자동차가 급락했습니다. 반도체도 밀리면서 오늘은 매물 압박이 클 것입니다. 전일에도 하락이었습니다. 물론 전일에는 삼성전자의 하루였습니다.

반도체의 반등과 금융주로 매수세가 이어지는 모습도 보여주었지만 종목별로 하락의 너무 많았습니다. 코스피는 반등, 코스닥은 하락했습니다. 삼성전자와 하이닉스을 중심으로 한 반도체, 반도체 장비 그리고 휴대폰 여기에 금융주 제외하면 체감 지수는 급락이었습니다.

삼성전자의 급등은 5일 올해 1분기 실적을 발표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증권가에서는 예상치를 뛰어넘는 '어닝 서프라이즈'가 나올 것이란 기대감이 커지고 있고 반도체 가격 상승과 함께 새로운 먹거리인 고대역폭 메모리(HBM) 매출도 본격화할 전망하면서 삼성전자가 시장을 이끌어 주었습니다. 상대적인 체감 지수가 너무 컸떤 화요일장, 앞으로도 시장은 계속 그럴 것입니다. 코스닥은 전일 급락으로 무너지면서 그래도 우리 증시에는 반도체가 필수입니다. 오늘은 전체적으로 매물은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하락하면 하단 매수 준비, 미국에서 바이오주들이 하락했지만 한올바이오파마 준비하겠습니다. 그리고 제우스와 네이버 매수한 것은 다시 위로 매도, 종목별 주가 등락이 이어질 것입니다. 전일 제주은행 급등 시 매도 이후에 다시 매물에 막히면서 더욱 빠른 종목 순환합니다. 지금은 순환매도 긴 흐름에서 이어지지 않고 그 빠름이 너무 급등락의 반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도 단기 매매입니다. 미 증시 하락으로 조정 출발하겠지만 그래도 하단에서는 매수세가 있습니다. 저점 공략하는데 중요한 것은 시장에서 코스닥은 월음의 구간입니다. 코스피도 매물도 있지만 하단 매수세 유입, 삼성전자의 약진, 코스닥은 매물 압박의 모습, 아직은 기술적인 매매를 중심으로한 순환매 종목별 관리 매매에 집중하는 전략으로 현장세를 보시기 바랍니다.

▲미증시 동향
다우: 39,170P(-396P,-1.00%)
나스닥: 16,240P(-156P,-0.95%)
S&P 500: 5,205P(-37P,-0.72%)
필라델피아반도체: 4,886P(-75P,-1.51%)

미 증시 하락으로 마감했습니다. 장기금리 상승에 따른 매물, 국채 수익률이 4개월 만에 최고 수준 기록했습니다. 금리 상승에 민감한 중소형주 및 부동산, 신재생에너지 등 하락으로 마감하였습니다. 금리 인하 후퇴에 대한 부담감에 국채금리 상승했고 상승의 차익 매물과 함께 하락의 모습입니다. 특히나 테슬라가 크게 하락했는데 1분기 차량 인도량이 2020년 이후 처음으로 감소했다는 소식에 -4.9%나 하락했고 유나이티드헬스, 휴마나 등 대형 건강보험회사는 메디케어 요율 인상 영향으로 급락했습니다. 바이오 업종의 급락, 여기에 비트코인 가격은 전일 동시간 대비 -5% 넘게 하락하였고 대신 국제유가와 구리, 금 가격은 상승하면서 시장 리스크는 커지는 모습입니다. 테슬라 하락으로 인한 전기차를 생산하는 샤오펑(-5.6%), 리비안(-5.2%), 루시드(-3.5%) 등도 동반 하락했습니다. 장기 금리 상승 영향으로 선노바(-11%), 맥슨솔라테크(-10%), 인페이즈(-4.0%) 등 태양광 및 신재생에너지 관련주가 약세이며 유나이티드 헬스(-6.5%) 등 건강보험 회사는 정부가 메디케어 요율을 인상하자 수익성 악화 우려에 급락했습니다. 캘빈클라인 및 타미힐피거 모회사인 PVH(-22%)는 1분기 및 연간 실적 전망이 시장 예상을 하회했으며 대신 국제유가 상승에 힘입어 에너지 iShares 글로벌 에너지 ETF(IXC, +1.6%)가 거의 10년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가운데 마라톤 페트놀륨(+3.4%), 필립스 66(+3.8%), 엑슨모빌(+2.0%) 등 강세입니다. 금 가격 강세에 프리포트 맥모란 (+2.2%)은 연중 저점에서 30% 이상 상승, 종목의 명암은 있었지만 미 증시는 금리 인하 후퇴에 따른 부담에 하락의 모습입니다. 클리블랜드 연은 로레타 메스터 총재가 장기 기준금리가 2.5%에서 3.0%로 상승했을 수도 있다는 발언, 미 달러화는 장 초반 105.1을 기록하며 5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우리 증시는 환율 부담은 지속, 삼성전자로 집중된 매물 압박일 것입니다. 전체적으로 고점 돌파 이후에 어려운 장세이며 오늘 하락 시에는 하단 매수세도 체크하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경제지표
원달러:1,352.50원 (+4.80원)
WTI:85.15$(+1.44$,+1.72%)

◎ 굿모닝 주식창 '김종철 파트너'

1. '다가오는 PCE 대응전략과 미국투자하기' 무료 시청하기

▶바로가기: https://youtu.be/FHgrYCVWCGA

2. 평생 할인 안내
명품주부터 시황, 전략까지 완벽 분석
▶가입 금액: 38만 원→22만 원
▶ARS 신청: 1668-4721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