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wowtv.co.kr/wowtv_news/dnrs/20240508/B20240508155309187.jpg)
코로나바이러스 팬데믹 시기 주가가 크게 오른 기업들이 엔데믹 이후 주가가 추락하는 등 맥을 못 추고 있다.
당시 주가가 많이 오른 상위 50개 기업은 2020년 말 이후 현재까지 주가가 3분의 1가량 떨어진 것으로 드러났다. 시가총액으로는 1조5천억 달러(약 2천47조원)이 증발한 것이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 글로벌 자료를 인용해 코로나 봉쇄 기간이던 2020년 가장 주가가 많이 오른 시가총액 100억 달러 이상 대기업 50개 중 기술기업들이 많았다고 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당시 재택근무 등이 확산됐고 이에 필요한 기술을 제공하는 기업이 돈을 많이 벌었던 영향이다.
화상회의 시스템을 개발한 줌은 이때 주가가 765% 치솟았지만 2020년 말 이후 약 80% 떨어졌다. 시가총액은 770억 달러 넘게 사라졌다.
클라우드 기반 통신 회사 링센트럴도 2020년 주가가 급등했지만 그 이후 알파벳이나 마이크로소프트와 같은 기술 대기업과 경쟁 구도를 이루며 주가가 약 90% 급락했다.
실내 자전거 제조업체 펠로톤은 팬데믹 이후 주가가 97% 넘게 떨어져 시가총액 약 430억 달러가 증발했다. 펠로톤은 지난주 배리 맥카시 최고경영자(CEO)가 사임하고 직원의 15%를 감축할 것이라고 밝혔다.
테슬라도 2020년에 주가가 가장 많이 오르면서 시가총액이 12월 말 6천690억 달러로 787% 증가했지만, 이후 다시 5천890억 달러로 감소했다.
백신 제조업체 모더나와 화이자를 비롯해 이름이 덜 알려진 중국 업체들까지 2020년 주가가 많이 뛰었으나 이후 수요가 급감하며 오른 주가를 모두 반납했다.
반면 2020년 주가가 많이 오른 50개 대기업 중 이후에도 주가 상승을 유지한 기업도 있었다.
중국 자동차 제조업체 비야디(BYD), 사이버 보안 그룹 크라우드스트라이크, 소프트웨어사 더 트레이드 데스크와 데이터독, T-모바일, 중국 배터리회사 CATL, 남미의 온라인 쇼핑몰 메르카도리브레 등 7개사 뿐이다.
(사진=연합뉴스)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박근아 기자
twilight1093@wowtv.co.kr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