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대단지 아파트 지하주차장에서 발생한 벤츠 전기차 화재 당시 스프링클러가 작동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차량 폭발로 순식간에 불길이 번진 와중에 소방용 설비로 초기 진화를 못해 피해규모를 키웠다는 주장이 나온다.
6일 인천소방본부에 따르면 지난 1일 오전 6시 15분께 서구 아파트 지하주차장에서 벤츠 전기차에 불이 났을 당시 스프링클러가 작동하지 않았다.
소방 당국은 현장 폐쇄회로(CC)TV와 목격자 진술 등을 종합해 발화 지점에서 스프링클러가 작동한 사실이 없다고 봤다.
인천소방본부 관계자는 "화재 직후 스프링클러가 작동하지 않은 것을 확인했다"며 "정확한 미작동 원인에 대해선 추가 조사 중"이라고 말했다.
과거 사례에 따르면 스프링클러는 전기차 화재 발생 시 불을 완전히 끄지는 못하더라도 불길이 번지거나 주변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실제로 지난 5월 8일 오후 7시 24분께 전북 군산시 아파트 지하주차장에서 주차된 쉐보레 볼트EV 차량에 불이 났으나 스프링클러가 작동해 45분 만에 꺼졌다. 인명 피해도 없었다.
당시 촬영 영상을 보면 주차장 천장 쪽에 설치된 스프링클러에서 끊임없이 물이 분사됐다.
반면 인천 전기차 화재의 경우 8시간 20분 만에 진화됐으며 차량 140대가 불에 타거나 그을렸고 연기 흡입 등으로 23명이 병원으로 이송됐다.
주차장 내부 온도가 1천도 넘게 올라 지하 설비와 배관 등이 녹고 정전과 단수가 발생하는 등 국내 전기차 화재 중 최대 규모의 피해가 발생했다.
인천과 군산의 전기차 화재 모두 지하주차장에서 발생한 데다 다량의 연기가 나와 현장 접근에 어려움이 있었지만 결과는 전혀 달랐다.
류상일 동의대 소방방재행정학과 교수는 "전기차의 리튬배터리를 제외한 부품들은 스프링클러에서 쏟아지는 물로 어느 정도 진화될 수 있다"며 "스프링클러 작동 여부가 초기 진화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고 밝혔다.
주차장에 차량이 밀집한 가운데 불이 난 점도 피해를 키운 원인으로 지목된다.
화염 방향이 위로 치솟는 내연기관 차량과 달리 전기차 특성상 배터리팩에 불이 났을 경우 수평으로 진행되는 경향이 있어 연소 확대에 취약하다.
공하성 우석대 소방방재학과 교수는 "전기차의 경우 배터리가 차체 밑부분에 깔려 있다 보니 불길이 옆으로 퍼지는 경향이 있다"며 "화재 직후 유독가스까지 퍼지면서 피해가 커진 것으로 보인다"고 짚었다.
(사진=연합뉴스)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박근아 기자
twilight1093@wowtv.co.kr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