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한 위원님! 안녕하십니까? 어제 이 시간을 통해 Fed의 실수 문제를 지적해 드렸는데요. 후폭풍이 지속되고 있는 9월 FOMC 회의결과를 다시한번 정리해 주시지요.
- 빅컷 처음 제기됐던 7월보다 경제지표 개선
- 9월 SEP, 6월 전망 2.1%-2.0%로 변화없어
- 23.4분기 3.4%-24.1분기 1.6%-2분기 3.0%
- 애틀란타 GDP 나우, 3분기에도 2.5%에서 3%
- 왜 빅컷 단행?, Fed or Powell’ chaos 초래
- 순응적 선택과 checking swing하면 ‘베이비컷’
- 하지만 역행적 선택, 2년 반 만에 ‘빅컷’ 단행
- 보우먼 반대, 2005년 이후 ‘만장일치’ 전통 깨져
Q. 19년 만에 Fed의 전통이 깨졌다면 시장의 움직임도 관심이 되고 있는데요. 모험을 택한 파월의 조치에 대해 그동안 시장은 어떻게 반응해 왔습니까?
- 파월, 경기침체로 피봇 단행한 5년 전과 달라
- 2024년, 침체보다 앞으로 닥칠 침체 예방 조치
- 시장에서는 어떻게 해석하느냐는 또다른 문제
- 물가 잡히지 않고 경기도 문제가 없는데 빅컷?
- 선행조치면 7월에 베이비컷, 8.4쇼크 없었을 것
- 9월에도 베이비컷, 경기침체와 볼커의 실수 예방
- 역수수께끼, Fed와 파월도 당혹스러운 분위기
Q. 시장의 반란이 나타나는 것은 불과 3개월 전까지만 하더라도 올해 안에 금리인하는 없다고 Fed의 인사와 파월 의장이 말했지 않았습니까?
- 7월 파월 기자회견, 라스트 마일 부주의 경고
- 피봇, 8월 말 잭슨홀 미팅에 가서야 공식 시사
- 오락가락하는 파월과 Fed, ‘더이상은 안 믿어’
- 5월말 JP 모간과 GS 회장, “연내 금리인하 없다”
- 다이먼 JP 모간 회장, 연일 작심 발언 쏟아내
- 美 경제, 경착륙과 스테그플레이션 가능성 경고
- “모두 Fed에 속고 있다”, 10년 금리 8% 급등
- JP 모간, S&P지수 결국 4200선으로 폭락할 것
Q. 글로벌 양대 IB 수장들이 “더는 믿지 마라”라는 얘기가 나올 정도로 Fed의 예측력이 떨어지는 것을 그것도 전직 Fed의장이 꼬집어 비판한 적이 있지 않습니까?
- Fed, 양대책무지표 물가와 고용 전망 틀려
- 2021년 이후 인플레와 고용지표 예측 대실패
- 결과적으로 뒤늦게 금리를 급히 올린 주요인
- 경기에 대한 예측, 워낙 많이 틀려 도마 위에
- 작년 성장률 2.5%, 22년 12월 전망치는 0.5%
- 빅컷, 문제없다는 경기에 문제 있는 것 아닌가?
- 벤 버냉키, Fed 등 중앙은행 예측기법 쓴소리
- Ferbus, 용도 폐기된 노후화된 예측기법 고집
Q. 오랫동안 국경일 휴일을 끝내고 오늘 중국 증시가 개장하는데요. 오늘 중국 주가가 얼마나 오를 것인가 관심이 되고 있지 않습니까?
- 9.24 대책은 09년 美금융위기 타개책에 비유
- 지준율 빅컷 등 모든 정책금리 동시다발적 인하
- 금융위기 당시 헬리콥터 벤식 유동성 공급 병행
- 시장은 환영, 상해종합지수 모처럼 20%대 급등
- 국경일 동안 바로미터 홍콩 증시, 10% 추가 상승
- 시진핑 정부, 종전과 달리 추가 부양책 발표 시사
- 오늘 중국 주가, 과연 얼마나 오를 것인가? 관심
Q. 중국 증시가 오랜만에 상승하는 만큼 중국에 투자할 것을 권하는 조언들이 부쩍 많아지고 있는데요. 현재 글로벌 자금 움직임은 어떻습니까?
- 금리차와 환차익 겨냥한 캐리 자금, 지켜봐야
- 中 부양책, 캐리 트레이드 여건과 큰 관련 없어
- 오히려 미국으로 유입되는 종전의 움직임 지속
- 펀더멘털 겨냥 자금, 부양책 효과에 대한 의문
- 이번 대책으로 中 경기 살아날 것인가, 의견 갈려
- 2015년 데스 밸리 악몽 가능성 만만치 않게 제기
- 中 주식, 오랜 만에 韓 증권사가 가장 많이 추천
Q. 시진핑 정부가 갑작스럽게 대규모 부양책을 발표한 배경에 대해 아직도 논란이 되고 있지 않습니까? 시간이 갈수록 다른 목적이 있다는 시각이 나오고 있지 않습니까?
- 사회주의 국가 양대 수장, 최근 들어 위상 약화
- 푸틴, 우크라이나와의 전쟁 장기화로 국력 소모
- 시진핑, 경기침체 장기화로 지지계층 이반 조짐
- 中 경제, 러시아보다 더 공산주의 색채가 짙어
- 자본시장 글로벌 스탠다드, 신뢰와 의미가 없어
- 공산주의 부양책, 지지층 富증식 통해 결속 다짐
- 3대 평가사와 벤치마크 지수, 中을 배제하는 이유
Q. 중국의 대규모 부양책으로 중국 주가가 오랜만에 올라가서 그런지 “이번에는 다르다”면서 중국 주식을 추천하는 시각이 많지 않습니까?
- 中 주식 투자, 결과적으로 보면 가장 많은 손해
- 상해종합지수, 금융위기 직전 6300대비 반토막
- 같은 기간 중 다우지수, 1만선에서 4만선 돌파
- 부양책이 있을 때마다 중 주식 추천, 실패 반복
- 국별로 韓 증권사가 가장 많이 추천, 국부 손실
- 시진핑층의 재산 증식, 韓이 돈 대줄 필요 있나?
- 오히려 中 주식 투자보다는 美 주식 투자가 유리
지금까지 한국경제신문사의 한상춘 논설위원이었습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