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wowtv.co.kr/wowtv_news/dnrs/20241017/B20241017155615370.jpg)
올해 서울 주요 상권의 공실률이 완만하게 낮아진 가운데 특히 명동의 공실률이 크게 떨어졌다. 외국인 관광객이 급증한 덕분이다.
올해 상반기 서울 6대 상권 매출액은 모두 팬데믹 이전 수준까지 회복한 것으로 드러났다.
17일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 코리아가 내놓은 '서울 리테일 가두 상권 시장 보고서'에 따르면 서울 6대 상권의 2분기 평균 공실률은 18.3%로 작년 동기보다 0.4%포인트 낮아졌다.
작년에는 엔데믹을 맞아 공실률이 빠르게 회복됐지만 올해에는 완만한 회복세를 보였다고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 측은 설명했다.
6대 상권 중 특히 명동은 외국인 관광객 증가 영향으로 공실률이 크게 낮아졌다. 2분기 명동 상권 공실률은 6.8%로 작년 동기 대비 7.6%포인트 하락하면서 주요 상권 중 가장 낮은 공실률을 기록했다.
명동은 서울 상권 중 외국인 관광객이 가장 많이 방문하는 지역으로 꼽힌다. 작년 명동을 방문한 외국인 관광객 수는 2022년보다 8배 이상 증가했다.
반면 가로수길은 2분기 공실률이 39.4%로 작년 동기보다 2.9%포인트 높아졌다. 이곳은 서울 주요 상권 중 공실률이 가장 높은 곳으로 꼽힌다.
보고서는 "한남, 성수, 도산공원 등으로 유동 인구가 분산되면서 가로수길 상권의 전반적인 활기가 다소 하락했다"며 "가로수길 메인 도로를 중심으로 공실이 지속되고 있는 반면 이면 상권인 세로수길은 여러 임대 활동이 이어지며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전했다.
공실률은 한남·이태원 11.5%, 홍대 14.4%, 청담 17.4%, 강남 20.0%로 각각 나타냈다.
서울 6대 상권의 신용카드 매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올해 상반기 기준 전 권역의 매출이 코로나19 발생 이전인 2019년 상반기를 넘어서거나 비슷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메디컬 업종은 전 지역에서 매출이 증가했다.
명동의 경우 지난해까지만 해도 매출 회복률이 70%대에 불과했지만, 관광객이 돌아오자 올해 큰 폭으로 매출이 늘어 상반기에는 2019년 상반기의 116% 수준까지 회복했다. 특히 팬데믹 이전과 비교해 메디컬과 숙박 관련 매출이 두 배 이상 성장했다.
가로수길 역시 공실률은 올랐지만 올해 상반기 매출은 작년 동기 대비 성장했다. 반면 청담 상권은 경기 둔화, 소비 채널 분산 등 영향으로 작년 동기보다 매출이 줄었다.
작년 하반기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신규 매장이 가장 많이 오픈한 상권은 명동이었다.
업종별로 보면 화장품 매장이 전체 신규 점포의 21.1%로 가장 많았고, 의류(17%), 카페(13%), 일반음식점(12%), 패션잡화(11%) 등이 다음으로 꼽혔다.
(사진=연합뉴스)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박근아 기자
twilight1093@wowtv.co.kr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