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wowtv.co.kr/wowtv_news/dnrs/20241101/B20241101074428233.jpg)
정부 고위 관계자는 31일(현지시간) 북한의 대러시아 파병에 대한 정부 대응에 대해 "러·북 군사협력 진전 추이에 따라 대응 조치를 단계적으로 취하겠다는 것이 우리의 일관된 입장"이라고 밝혔다.
미국을 방문 중인 이 고위 관계자는 특파원단과의 간담회에서 북한의 대러시아 파병 등 북러 군사협력 강화에 발맞춰 정부가 우크라이나에 무기 지원 등을 검토할 것인지 묻는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러시아 파병 북한 병사들이 실제 전투에 참여하는지 여부 등 상황을 더 지켜보고 정부의 단계적 대응 수위를 결정할 것이라는 의미로 풀이된다.
고위 관계자는 "북한의 실제 참전을 지연시키고 추가 파병을 억제하고, 상황이 더 고조되지 않는 방향으로 심사숙고하고 재고하도록 국제사회를 통해 압박을 가하는데 (현 단계 정부 대응의) 초점이 맞춰져 있다"고 밝혔다.
북한이 11월 5일 미 대선 이후 제7차 핵실험에 나설 가능성에 대해 이 관계자는 "마음만 먹으면 언제든 할 수 있는 준비가 돼 있다는 것이 정보 당국의 분석"이라고 말했다.
또 "(핵실험) 시기 등을 저울질하고 있고, 했을 경우에 생길 후과를 저울질하고 있을 것이기 때문에 완전히 북한의 선택에 달린 상황"이라며 "계속 미루고 있는 것은 나름의 셈법이 있어서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사진=연합뉴스)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박근아 기자
twilight1093@wowtv.co.kr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