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wowtv.co.kr/wowtv_news/dnrs/20241126/B20241126083348277.jpg)
식당 메뉴에 열량(칼로리)을 의무적으로 표시하게 하면 열량 섭취가 줄어들지 영국에서 그 효과를 분석한 결과 사실상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국 리버풀대 메건 폴든 박사팀은 2022년 4월부터 잉글랜드에서 시행된 칼로리 표시 의무화가 열량 소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26일 과학 저널 네이처 인간 행동(Nature Human Behaviour)에서 밝혔다.
연구팀은 테이크아웃 전문점이나 식당 등에서 판매하는 칼로리 높은 음식 섭취가 비만이 증가하는 요인의 하나로 꼽힌다고 지적했다. 이에 영국 정부는 2022년 4월부터 잉글랜드에서 250명 이상의 직원을 둔 모든 외식업체에서 칼로리 표시를 의무화하는 정책을 시행했다.
연구팀은 이 정책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칼로리 표시 의무화 전후 잉글랜드 전역의 카페, 패스트푸드점, 식당 등 330개 음식점에서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해 행동 변화 여부를 확인했다.
2021년 8~12월 연령, 성별, 인종, 교육 수준이 다양한 3천308명을 대상으로 칼로리 표시에 대한 인지 및 활용도, 구매 및 소비 데이터를 수집했고, 2022년 8~12월 같은 음식점에서 음식을 구매한 3천270명을 대상으로 같은 조사를 했다.
칼로리 표시에 대한 인지도는 의무화 시행 전 16.5%에서 시행 후 31.8%로 높아졌지만 실제 구매하거나 섭취한 칼로리의 양은 유의미하게 감소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칼로리 표시 의무화 후 음식을 선택하며 열량 정보를 활용한다고 답한 고객은 전체의 22%에 그쳤다. 이는 연령, 성별, 인종, 교육 수준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칼로리 표시에 대한 인지도와 활용률은 여성, 고령자, 사회경제적 수준이 높은 그룹에서 더 높았다.
공동 연구자인 에릭 로빈슨 교수는 "이 연구 결과는 더 건강한 소비자 선택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규정 준수 개선, 칼로리 섭취에 대한 대중 교육, 더 명확한 표시 같은 전략의 조합이 필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사진=연합뉴스)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박근아 기자
twilight1093@wowtv.co.kr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