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wowtv.co.kr/wowtv_news/dnrs/20241105/B20241105075057767.jpg)
국내 은행의 건전성 지표인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본비율이 3분기 소폭 상승했다.
27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9월 말 기준 국내은행의 BIS 총자본비율은 15.85%로, 전분기 말 대비 0.09%p 상승했다.
같은 기간 보통주자본비율은 13.33%, 기본자본비율은 14.65%로 각각 0.15%p씩 상승했다. 단순기본자본비율은 6.79%로 같은 기간 0.04%p 올랐다.
금감원은 "위험가중자산 증가세가 둔화되고 견조한 이익을 시현하면서 자본이 증가해 BIS비율이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3분기 국내은행의 위험가중자산은 19조8천억 원 늘면서 전분기(+47.7조원) 대비 증가세가 축소된 한편, 3분기 연결분기순이익은 8조 2천억 원을 기록하며 1분기(7조원), 2분기(9조원)에 이어 견조한 증가세를 보였다.
현재 감독당국의 규제 기준은 보통주자본비율 8.0%, 기본자본비율 9.5%, 총자본비율 11.5%다.
금감원은 "9월 말 현재 모든 국내은행이 자본규제비율을 크게 상회하는 등 양호한 수준을 보이고 있다"며 "특히 씨티·카카오·SC는 20% 이상으로 매우 안정적"이라고 평가했다.
보통주자본비율은 DGB지주(+0.55%p)·하나지주(+0.37%p)·KB지주(+0.25%p) 등 대부분 은행에서 상승한 반면, 카카오뱅크(-0.31%p)·우리지주(-0.08%p)·농협지주(-0.06%p) 등 3개사는 하락했다.
![국내은행의 자본비율 현황. (자료: 금융감독원)](https://img.wowtv.co.kr/wowtv_news/dnrs/20241127/B20241127141155017.jpg)
다만, 최근 환율 상승 등 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되며 은행들이 높은 건전성을 유지하는 데 어려운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
최근 원·달러 환율이 1,400원대에서 등락하고 있는데, 환율 상승으로 외화 부채의 원화환산액이 늘어나면 BIS 자기자본비율이 하락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금감원은 "최근 환율 상승 등 대내외 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되고 있으므로, 잠재리스크에 대비해 자본여력을 계속 제고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금융여건 악화시에도 은행이 충분한 손실흡수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자본적정성 감독을 강화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금감원은 연내 은행의 건전성 강화를 위해 '스트레스완충자본' 규제를 도입할 방침이다.
스트레스완충자본은 은행의 손실 흡수능력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위기상황분석(스트레스 테스트) 등을 통해 추가자본 적립을 요구하는 제도다.
제도가 도입되면 은행은 위기상황 분석 결과 CET1 하락 수준에 따라 최대 2.5%p까지 기존 최저자본 규제비율을 상향하는 방식으로 추가자본을 적립해야 한다.
이를 충족하지 못하면 이익배당과 성과금 지급 등에 제약이 생길 수 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