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당근 할당관세 내년 2월까지 연장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5%를 기록하며 석 달 연속 1%대를 둔화 흐름을 이어갔다.
정부는 특별한 대외요인이 발생하지 않는 한 당분간 물가는 2%내의 안정세를 보일 것으로 내다봤다.
통계청이 3일 발표한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11월 소비자물가 지수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1.5% 상승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해 4월(2.9%)부터 다섯달 연속 2%대에 머물다 지난 9월 1.6%를 기록하며 1%대로 내려온 이래 석 달 연속 1%대를 유지했다.
전체 물가 둔화세의 가장 큰 요인은 석유류 가격 하락이다.
지난달 석유류 물가는 국제유가 안정에 힘입어 지난해 같은 달보다 5.3% 하락하면서 전체 물가를 0.22%포인트 끌어내렸다.
다만 하락폭은 유류세 인하조치 조정 영향으로 10월(-10.9%)에 비해 줄었다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농·축·수산물 물가는 1.0% 올라 전체 물가를 0.08%포인트 끌어올렸다.
특히 올 여름 이상고온 현상에 따른 작황 부진에 무(62.5%), 호박(42.9%), 오이(27.6%) 등이 크게 올라 채소류 물가가 10.4% 급등했다.
반면 과실류 가격은 떨어졌다. 올 상반기까지 ‘금(金)사과’로 불렸던 사과 가격은 8.9% 내렸다.
정부는 당분간 급격한 물가인상은 없을 것으로 예상했다.
김범석 기획재정부 1차관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물가관계차관회의를 열고 "향후 물가는 이상기후, 국제유가 등 불확실성이 있다"면서도 "특별한 충격이 없다면 2% 이내의 물가 흐름이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 차관은 그러면서 "누적된 고물가로 서민 생활의 어려움이 지속되는 만큼 국민들의 체감물가 안정을 위한 노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부는 먹거리 물가 안정을 위해 무와 당근의 할당 관세를 내년 2월 말까지 연장하고, 코코아두·커피농축액·오렌지농축액 등 식품원료 할당관세를 내년에도 계속 시행할 예정이다.
이날 회의에서는 미국 대선 이후 통상 환경 변화와 대응 방향, 세계은행(WB) 기업환경평가 현황·대응 방안 등에 대한 논의도 이뤄졌다.
김 차관은 17개 관계부처·기관이 참여하는 '기업환경평가 태스크포스(TF)'를 통해 세계은행 기업환경평가에 대응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대응 노력과 함께 실질적인 규제 개선이 필요하다며 경제관계장관회의를 통해 구체적인 개선 방안을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미국 신정부 출범에 따른 불확실성과 관련해서는 "우리 기업에 부정적 영향이 미치지 않도록 대응하는 동시에 우리 산업의 근본적인 경쟁력 강화 계기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