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대 미혼자 비율이 20년 새 5배 이상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청년들의 결혼 의향은 여성보다 남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통계청이 19일 발표한 '한국의 사회동향 2024'에 따르면 2020년 기준 40대 미혼자 비율은 남성 23.6%, 여성 11.9%로 나타났다. 2000년과 비교해 남성은 6.7배, 여성 5.7배 증가했다.
이는 혼인 시기가 미뤄졌을 뿐만 아니라 평생 한 번도 결혼하지 않는 '생애 미혼'이 늘어난 영향으로 풀이된다. 나아가 미혼자의 결혼 긍정 인식은 감소 추세이고, 미혼자 중에서 결혼을 긍정적이라고 보는 비율은 20대에서 40대로 올수록 점차 낮아졌다.
19∼34세 미혼자 가운데 결혼 의향은 남성이 여성보다 높았다. 2022년 기준 결혼 의향이 있다는 응답 비율은 20대 남성에서 80.2%, 여성은 71.1%, 30대 남성은 80.0%, 여성은 72.5%였다.
결혼 의향은 교육, 경제, 건강이 좋을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은 결혼한 남성보다 미혼자의 대졸자 비율과 고용률이 낮았지만, 여성은 반대로 미혼자의 대졸자 비율과 고용률이 높았다.
지난해 20∼30대 청년세대의 40% 이상은 우리 사회에서 남녀 간 갈등, 즉 젠더갈등이 심각하다고 응답했다. 심각성 인식 차이는 사회적 이슈에 따른 시기별 차이가 두드러졌다.
청년들의 사회 문제나 삶의 중요 요소에서도 차이가 보였는데, 19∼34세 청년 중 남성은 연애, 결혼, 출산과 양육을 중요시했고, 여성은 사회 기여를 더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 위협과 기후 위기 역시 청년 여성이 남성보다 더 많이 걱정했다.
2000년 이후 지역 간 인구 불균형은 '출생'보다 '지역 간 인구이동'이 더 주요한 요인이라는 연구도 눈에 띈다. 핵심 요인은 비수도권에서 수도권으로의 인구 이동이었는데, "20∼30대 이동은 학업부터 직업, 가족 형성·주거 및 가족 확대·정착 등 생애과정 수요에 영향을 받는다"는 설명이다.
관련뉴스